오영훈 제주도지사가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의 망발을 강하게 비판하며 사과를 촉구했습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제주4·3의 역사적 비극을 정치적으로 악용한 국민의힘 태영호 국회의원은 4.3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사과할 것”을 엄중히 촉구했다.그는 “태 의원은 지난 13일 제주4·3이 북한 김일성의 지시로 촉발됐다며 색깔론에 기댄 거짓 주장을 펼쳤다”라며 “이는 대한민국 정부가 발간한 제주4·3진상보고서를 부정하고 여야 합의로 제정된 4·3특별법의 취지에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4·3은 질곡의 세월로 이어진 아픔을 이겨내고 화해와 상생의 정의로운 해결로 나아가며, 과거사 해결의 세계적 모범사례로 거듭나고 있다”라며 “제주 사회는 더 이상 철 지난 색깔론에 흔들리지 않으며,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 회복과 4·3의 정명 등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뚜벅뚜벅 나아가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지지를 얻기 위해 4·3을 왜곡·폄훼하고 희생자와 유족의 아픈 상처를 후벼파는 망언을 한 태영호 의원은 본인의 발언에 스스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이달 7일 서울 강서구 한 방송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 후보자 비전 발표회에서 태영호 최고위원 후보가 비전 발표를 하고 있다. 2022.2.7. ⓒ뉴스1곧바로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평화재단 등이 공동성명을 내고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통해 낡아빠진 색깔론으로 국민을 현혹하겠다는 것에 불과하며 4·3을 폭동으로 폄훼해 온 극우의 논리와 전혀 다를 바 없다”며 사과를 촉구했지만, 다음 날 태영호 의원은 사과는커녕 “나는 북한 대학생 시절부터 4·3사건을 유발한 장본인은 김일성이라고 배워왔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정부의 진상규명을 통해 작성된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에 따르면, 제주4·3은 북한의 지령에 의해서가 아니라 1947년 경찰이 시위 군중에게 발포해 주민 6명이 죽고 8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이 도화선이 됐다. 또 진상조사 결과, 북한 지령설의 근원인 박갑동 씨의 중앙일보 연재 글은 원래 취지와는 다르게 마음대로 편집된 것이었다. 박갑동 씨는 “내가 쓴 것이 아니고 내 글을 신문에 연재할 때 외부에서 다 고쳐서 그렇게 된 것”이라며 “4·3은 서북청년단과 경찰이 횡포를 부려 발생한 사건”이라고 말했다. 또한 남로당에 관여했던 증언자들도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설을 부인했으며, 남로당 제주도당 투쟁보고서에도 “중앙 지시가 없으니 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기사 원소스 보기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팩트와이] 태영호 '제주 4·3 사건, 김일성 지시로 촉발'...특별법·진상보고서 봤더니태영호 '4·3사건, 北 김일성 지시로 촉발' 주장 / 4·3 사건 진상규명 노력…1999년 특별법 제정 / 태영호 '북한 대학 시절부터 北 개입설 배웠다' / 보수단체 '진상보고서는 가짜' 소송…기각·각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3 북한 지령설’ 주장하며 제주를 진상조사 이전으로 되돌리는 태영호제주4.3진상조사보고서에는 ‘북한 지령설’에 관한 조사결과도 담겼습니다. 그런데도,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이를 주장하며 제주도를 색깔론을 물들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 찾은 태영호 “4·3사건은 김일성 지시로 촉발” 주장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한 태영호 의원이 지난 12일 제주를 찾아 “제주 4·3 사건은 명백히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고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토론 중 개 짖는 소리... 김길수 용인시의원 발언 논란토론 중 개 짖는 소리... 김길수 용인시의원 발언 논란 용인시민신문 용인시민신문 함승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영호 “제주4·3, 김일성 만행”…4·3단체들 “낡아빠진 색깔론”국민의힘 3·8 전당대회에 출마한 태영호 최고위원 후보가 “4·3사건은 명백히 김(일성)씨 일가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제주 4·3 단체들 “즉각 사과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