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30년”→“최소 30년”…일본도 언제 끝날지 모른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오염수 방류 “30년”→“최소 30년”…일본도 언제 끝날지 모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새 오염수 매일 90~140t 발생

연합뉴스 ‘7.5년→30년→적어도 30년.’ 일본 언론들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오염수 방류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쓴 표현이다. 오염수 방류 종료 시점조차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류 계획이 그대로 지켜질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 연료봉 잔해물 속수무책…오염수 무한정 늘어 국제원자력기구와 한국 정부는 ‘일본이 밝힌 계획대로’ 방류가 이뤄질 경우 ‘환경과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후쿠시마 원전을 폐로하기 위해 원전에 저장돼 있는 134만톤의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를 활용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모든 방사성 핵종을 기준치 이내로 제거한 뒤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것을 큰 틀로 하고 있다. 문제는 후쿠시마 원전에 빗물과 지하수가 유입되며, 노심용융을 일으킨 연료봉의 잔해물과 만나 매일 90~140톤에 이르는 새로운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알프스의 성능은 물론 필터 점검 등 운영에도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정부는 현지 점검에서 이런 문제를 파악해 일본에 알프스 필터 점검주기 단축을 권고했지만, 일본은 ‘설비 개선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겠다’며 권고 수용을 유보했다. 과학계에선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을 담보할 충분한 근거가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한 예로, ‘영국의학저널’에 발표된 방사선 영향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는 오염수 속의 방사성 핵종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도 추가 피폭량이 미미해 아무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일본 쪽 설명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국제암연구소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 등이 최근 미국·프랑스·영국의 원자력산업 종사 경력자 중 사망자 10만3553명의 사망 원인을 역학조사한 결과를 보면, 흡수선량 0~20밀리그레이의 저선량 피폭에도 혈액을 제외한 장기에 발생하는 고형암 추가 사망 위험이 그레이당 130%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05 15:4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