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스타트라인에 서 있을 용기가 있을지조차 모르겠다'(34~35쪽)며 배우로서 늘 새로운 상황을 맞아야 하는 긴장감도 털어놓았다. 쓸 때마다 타블로 씨에게 보냈고, 그 글이 달 출판사 대표(시인 이병률)에게 전해졌다고 나중에 들었다. 책으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독자 한 분이라도 ‘나만 외톨이가 아니구나, 나만 이렇게 생각하고 사는 게 아니구나’ 하신다면 감사하겠다.
어떤 이는 그를 ‘올드보이’의 횟집 요리사 미도로, 혹은 ‘웰컴 투 동막골’ 속 산골 소녀 여일로 기억할지도 모르겠다. 스물한 살에 데뷔한 영화 ‘올드보이’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바보와 요부를 오가는 얼굴로 20대에 한국 영화의 황금시대를 함께 했다. 배우 강혜정이 작가로 돌아왔다. 첫 에세이 『반은 미치고 반은 행복했으면』 출간을 맞아 21일 기자들과 만난 그는 “내 안에 있는 말풍선을 엮은 책”이라고 소개했다. “하고 싶은 말이 돌아다니는데, 코로나도 있고 누구를 만나 이야기하기보다는 글로 적는 게 좋을 것 같아 휴대폰에 앱을 깔고 생각이 날 때마다 문자 메시지 보내듯 메모했다”고 말했다.공항이나 분식집에서 낯선 이들과 만나 벌어진 일로 단단한 껍질이 조금씩 균열을 일으킨 느낌도, 데뷔 초 설레고 아팠던 기억도 적었다. 열여섯 데뷔작 드라마 ‘은실이’ 속 악역으로 지나가던 아주머니에게"은실이 너무 괴롭히지 마라.
책으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독자 한 분이라도 ‘나만 외톨이가 아니구나, 나만 이렇게 생각하고 사는 게 아니구나’ 하신다면 감사하겠다. ‘숨기고 싶은 생각이라도 우리 공유해요, 외로워하지 마세요’ 말을 걸고 싶었다.”여전히 ‘올드보이의 강혜정’으로 기억하는 이들이 많다. “그 영화를 찍고 20년을 흘려보낸 나와 마찬가지로, 그 영화를 보고 20년을 흘려보낸 분들도 계실 거다. 언제 세월이 이렇게 흘렀나 싶다. 20대 초반이고, 상업 영화는 처음이라 모르는 게 많았다. 대배우들과 함께해서 긴장했지만 쉽게 흡수하고 뭐든 되게 빨리빨리 배우려 했던 것 같다.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였지만 굉장히 운이 좋았다.”
‘루시드 드림’ 이후 6년 동안 영화에서 보기 어려웠다. 배우로서의 계획은. “본업인 연기 활동에 대한 공백은 있었지만, 다른 걸 잘 만들어내느라 내 인생에서는 공백이 없었던 6년이었다. 지금은 그 친구가 건강하고 씩씩하게 자라주고 있다. ‘해내고 싶다’는 자극을 주는 그런 역할이 있다면 과감히 뛰어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