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우선 시공분 2월 착공

건설 뉴스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우선 시공분 2월 착공
영동대로지하공간복합개발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0%
  • Publisher: 51%

서울 강남 코엑스와 삼성역 사이 지하 공간에 광역복합환승센터 및 녹지광장을 조성하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의 우선 시공분이 2월에 착공할 예정이다.

서울 강남 코엑스 삼성역 사이 지하 공간에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고 상부에 대규모 녹지광장 이 들어서는 ‘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사업’이 첫 삽을 뜬다. 서울시 는 ‘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2공구 건설공사(건축·시스템)’ 기술제안서 및 우선 시공분 실시설계가 적격판정을 받고 공사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기술 제안한 2공구 건설공사는 2021년 착공해 현재 굴착 진행 중(공정률 26%)인 토목공사와 연계해 진행된다. 다음 달 우선 시공분인 △2호선 삼성역 승강장 개선 △광역복합환승센터 광역급행철도(GTX)-A 기능실(전기·통신기계실 등) 마감 △본선 환기구 공사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사업은 코엑스 사거리(9호선 봉은사역)와 삼성역 사거리(2호선 삼성역 ) 사이 약 1㎞ 구간 지하에 시설면적 21만㎡ 규모 광역복합환승센터와 철도, 도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상부에는 대규모 녹지광장 이 들어선다.

특히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GTX), 수도권 GTX-A·C, 위례신사선 경전철, 지하철 2호선(삼성역), 9호선(봉은사역) 등이 연계돼 강남을 중심으로 수도권 곳곳을 잇는 편리하고 체계적인 철도 시스템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앞서 지난달 20일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2공구 건설공사 기본설계 기술제안입찰 설계 적격 심의에 대한 설계 평가회의를 열었다. 기술제안서와 우선 시공분 실시설계 최종 평가에서 적격 판정했다. 건축·시스템 공사는 대규모 공사인 만큼 2개 공구로 분할해 시행 중이다. 2023년 10월 1공구 실시설계적격자(현대건설 컨소시엄) 예비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번에 2공구도 기술제안서가 적격 심의를 통과하면서 계획했던 시점에 착공할 수 있게 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앞서 2공구 사업은 사업비가 적다는 이유로 앞서 6차례 유찰되며 사업 지연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인건비·자재비 급등 등 건설시장의 현실을 고려해 공사비를 반영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2공구 공사비는 당초 2928억원에서 672억원 늘린 3600억원으로 조정 발주했다. 이에 따라 실시설계가 완료된 우선 시공분은 2월 공사에 들어가고, 본 공사는 15개월간 실시설계 후 설계 경제성 검토(VE) 및 실시설계 적격 심의를 거쳐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김창환 서울시 기술심사담당관은 “혼잡하고 노후했던 삼성역∼코엑스 일대가 대규모 지하공간 통합개발로 ‘한국판 라데팡스’라 불리는 생활·일자리 거점이자 첨단 대중교통 허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사업 일정을 착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광역환승센터 녹지광장 착공 삼성역 코엑스 서울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2공구, 2월부터 공사 시작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2공구, 2월부터 공사 시작서울시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2공구 건설공사가 2월부터 시작된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안한 사업은 9호선 봉은사역부터 2호선 삼성역까지 약 1000m 구간에 광역복합환승센터, 철로, 도로 등을 시설하고 상부에는 대규모 녹지광장을 조성한다. GTX-A, GTX-C 등 광역급행철도와 지하철을 연계한 체계적인 철도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로 조기 지정·특화 조성계획 발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로 조기 지정·특화 조성계획 발표정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대한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하며 2026년 12월 착공 목표를 내놓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산업단지 계획이 당초 목표보다 3개월 빠른 26일 승인되어 2026년 12월 착공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신속한 보상을 통해 2030년 6월에서 2026년 12월로 착공 시기를 앞당기고, 2030년 반도체 생산공장(팹·fab) 1호기 가동과 맞춰 도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 3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첫 팹 착공 대비 종합대책 수립내년 3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첫 팹 착공 대비 종합대책 수립경기 용인시는 내년 3월 SK하이닉스가 처인구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첫 반도체 생산 공장(팹, Fab)을 착공함에 따라 주변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고 도시 미관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등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27일 밝혔다. 팹 건설을 위해 하루 3000명에서 많게는 1만5000명의 근로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해신항 개발에 14조원 투입 부산항, 글로벌 톱3로 키운다진해신항 개발에 14조원 투입 부산항, 글로벌 톱3로 키운다내년 착공, 경제효과 41조원컨테이너 처리능력 87% 증가3만 TEU급 배까지 접안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토부 “내년 공공주택 역대 최대규모 25만2000가구 공급”국토부 “내년 공공주택 역대 최대규모 25만2000가구 공급”부동산 시장의 주택공급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내년 공공주택 착공 목표치를 기존 5만 가구에서 7만 가구로 늘렸다. 내년 공공주택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7 01:3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