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도산 불안감 일파만파…결국 바이든도 나섰다 SBS뉴스
오늘은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당장 미국에서는 벤처 기업과 중소 은행들이 연쇄 도산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물론 바이든 대통령까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벤처기업은 물론 암호화폐 발행회사와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포도농장들도 대출은 물론 예금한 현금을 찾을 수 없게 됐습니다.바이든 대통령은 실리콘 밸리 은행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주지사와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파산해도 원리금을 보장해 주는 미국의 예금 보장 한도는 25만 달러, 우리 돈 3억 3천만 원으로 실리콘 밸리 은행 예금의 90%는 이 한도를 초과한 상황, 당장 내일부터 예금보호한도 초과금액의 30-50%까지 조기에 지급하고, 파산이 확산할 경우에 대비해 새로운 기금을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은행이 5000개 가까이 있는 미국에서 규모가 16번째인 대규모은행의 예금조차 보호를 받지 못한다면 그보다 더 작은 이런 중소 은행은 어떻겠느냐는 불안감이 예금주들 사이에 퍼지면서, 당장 월요일부터 인출 러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과 캐나다 등에는 실리콘 밸리 은행에 회사자금 대부분을 예치한 기업들이 상당수 있다 보니, 당장 13일 월요일부터 강제청산에 들어가는 기업이 줄줄이 나올 거라는 공포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SVB 충격파’에 금융시장 출렁…“미 역사상 두번째 큰 은행 파산”미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핵심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 채 파산을 선언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스타트업-은행의 연쇄 위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VB, 폐쇄 수시간 전 직원들 보너스 지급…CEO 지분 매각도 논란미국 스타트업들에 자금을 공급하던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 사태로 금융계 후폭풍이 일파만파 커지는 가운데, 실리콘 SVB가 폐쇄 직전 직원들에게 거액의 보너스를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Pick] '아들이 다운증후군이라 추방당했다'던 그 가족, 호주 장관이 나섰다현지시간 10일 호주 ABC 방송 등은 호주 퍼스에 거주하며 광산 회사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로 일하고 있는 인도인 크리슈나 아니시 씨 가족의 사연을 전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정부, 'SVB 파산' 대응 부심…'예금보호 초과분 조기 지급' | 연합뉴스(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 여파가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미국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