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돌봄을 부부가 동등하게 분담하는 비율이 과거에 비해 증가했지만 여전히 여성의 돌봄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의 경우 3년 전에 비해 여성의 분담률이 오히려 더...
자녀 돌봄을 부부가 동등하게 분담하는 비율이 과거에 비해 증가했지만 여전히 여성의 돌봄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의 경우 3년 전에 비해 여성의 분담률이 오히려 더 커졌다.12세 미만 자녀 돌봄을 9개 항목으로 나눠 물었더니 자녀 학습 관리, 함께 놀아주기, 훈육 등에서 ‘남편과 아내가 똑같이’ 비율이 3년 전에 비해 늘었다.
다만 여전히 식사·취침·외출 준비·위생관리 등 일상생활 돌봄이나 아플 때 돌봐주기·병원 데려가기는 여성의 몫이었다. 자녀의 일상생활 돌봄을 ‘아내가’ 하는 비율은 지난해 78.3%로 집계됐다. 3년 전인 2020년과도 큰 차이가 없었다. ‘남편과 아내가 똑같이’ 자녀의 일상생활 돌봄을 분담한다는 비율은 2020년 19.9%에서 지난해 20.6%로 소폭 증가했다. 여성가족부 2023년 가족실태조사 결과.장보기·식사 준비·청소 등 가사 노동 또한 여성의 몫인 비율이 높았다. 지난해 가사 노동을 ‘아내가’ 하는 비율은 73.3%였다. 여성의 가사 노동 부담은 2020년보다 오히려 늘어났다. ‘남편과 아내가 똑같이’ 가사노동을 한다는 응답자는 25.3%로 3년 전보다 소폭 감소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남성의 가사노동 수행 분담율이 높았다. 30세 미만과 30세 이상~40세 미만에선 남편과 아내가 똑같이 가사 노동을 수행한다는 응답이 각각 56.4%와 44.1%였다. 응답자 10명 중 1명은 돌봄으로 직장에서 곤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가사·자녀 양육 등 돌봄 때문에 직장에 지각·조퇴·결근을 한다고 답한 이는 전체 10.7%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가사·자녀 양육·가족 돌봄 때문에 불성실하다는 비난을 받아본 적이 있다’는 질문에는 9.6%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과중한 업무로 인해 개인의 삶이 방해받는다고 느끼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직장일 때문에 개인생활 시간이 부족하다’는 질문에는 4명 중 1명이 동의했다. ‘직장 일 때문에 가족과 약속을 지키지 못한다’는 질문에는 21.2%가 동의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해 우선 추진할 정책으로는 ‘일하는 여성을 위한 보육지원 확대’를 선호하는 이들이 가장 많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기 화성을, 공영운 40% vs 한정민 19% vs 이준석 31% [매경·MBN 여론조사]孔 자녀 증여 논란에 李 반사이익 李, 중간평가보다 인물론 강조 적극투표층에선 공 후보가 여전히 우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내 외국인 250만명 '훌쩍'… 금융권 '이주민 금융 새 기회'작년 보험사 상품 가입자84만명으로 5년새 78%↑보험사, 특화지점 만들고외국인 설계사 늘려 공략한화생명 강일지점은귀화 외국인이 '연봉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험료 받을까, 벌금 낼까”...나이롱 환자 늘어나는 이유 있었네보험연구원, 보험사기 분석 기소유예 비율 일반사기 6배 재판서도 벌금형 비율 높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금융지주 순이익 21조원…부실채권 비율 늘며 건전성은 악화국내 금융지주회사들이 지난해 21조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3년 연속 20조원을 넘겼다. 이익 의존도가 높은 은행과 보험 계열사의 순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9일 금융감독원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균 임금 172만원 … ‘돌봄 노동자’ 수요 늘어도 노동환경은 ‘제자리 걸음’ [플랫]아이돌보미, 요양보호사 등 돌봄 노동자들의 평균 월급이 172만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돌봄 수요가 늘고 있지만 100만명을 웃도는 돌봄 노동자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봄’은 최저가 경쟁 상품이 아니다 [플랫]약 30년간 무임승차해왔던 ‘무보수 가사노동’은 결혼과 함께 가정을 꾸리며 끝내 나의 일도 되었다. 엄마는 가족을 위한 일이라면 귀찮고 힘든 게 없어 보였는데, 이건 나의 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