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도 나섰지만… 제로페이 결제, 카드의 0.0003%

대한민국 뉴스 뉴스

여당도 나섰지만… 제로페이 결제, 카드의 0.0003%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Chosun
  • ⏱ Reading Time:
  • 80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5%
  • Publisher: 51%

사용자가 '제로(0명)'라서 제로페이라는 말은 농담이 아니라 사실?

"사용자가 제로라서 '제로페이'"라는 시중의 말은 농담이 아니라 사실에 가까웠다.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로페이 결제 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 1월 한 달 동안 전체 결제 건수가 8633건, 결제액은 약 1억9950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수십억원의 예산을 써 가며 상인들을 위한 장비를 마련해주고 홍보에 나섰지만 제로페이 사용 금액은 1월 신용카드·체크카드 결제액의 0.0003%에 그치고 말았다. 제로페이 가맹점 한 곳당 평균 결제액은 4278원이었다. 커피 한 잔 값 정도에 그친 셈이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5일"제로페이가 정착되면 소상공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는 등 정부·여당이 대대적으로 밀고 있지만 시장에선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다.이날 제로페이 사용 실적이 공개되자 금융권에서는"예상했던 일"이라는 반응이 잇따랐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서울시 공무원들이 1만8000명이 넘는다는데 1월 제로페이 실적을 보면 공무원들도 한 달에 한 번도 안 쓰는 셈인데 소비자들이 움직일 리가 없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서울시는 올해 제로페이 홍보 예산으로 98억원을 책정해 뒀다.

서울시와 정부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들을 위한 착한 소비'라고 감성에만 호소하면서, 정작 사용자 편의는 뒷전으로 미룬 게 가장 큰 실패 요인으로 꼽힌다. 제로페이는 수수료를 내야 하는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폰 앱에서 QR코드를 이용해 소비자 계좌에서 소상공인 계좌로 돈을 바로 보내는 방식이다. 신용카드는 카드를 꺼내 긁기만 하면 되는데, 이 방식은 휴대폰을 켜서 앱을 열고 QR 코드를 찍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 카드보다 훨씬 번거롭다. 소득공제 혜택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제로페이로 소득의 25%를 초과해서 써야 하는 문턱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체감 효과는 낮다.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받는 할인·적립 등의 혜택도 제로페이엔 없다.

소비자들이 움직이질 않으니 정부·서울시가 수혜자라고 지목하는 소상공인들도 시큰둥하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이모씨는"한 달에 카드 수수료만 70만원 정도를 내고 있어 제로페이가 확산하면 도움은 되겠지만 제로페이로 결제하겠다는 손님을 거의 못 봤다"고 말했다. 여기에 제로페이 설치부터 결제, 환불 등 모든 절차가 생소하고, 카드 수수료가 1월부터 대폭 하락하면서 당초 기대한 수수료 절감 효과도 적지 않게 퇴색됐다는 평가가 나온다.정부는 간편 결제에 대해 지원을 늘리고 있다. 민간 간편 결제뿐만 아니라 '관제 페이'인 제로페이도 혜택을 보게 돼 제로페이를 지원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우선 세제 혜택을 더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지난 4일 홍남기 경제부총리는"신용카드 소득공제와 같이 도입 취지가 어느 정도 이뤄진 제도에 대해서는 그 축소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도 지난달 25일 간편 결제 지원 대책으로 신용카드처럼 소액의 후불 결제를 허용하고, 간편 결제를 위해 미리 충전해 둘 수 있는 금액도 현재 200만원에서 300만~500만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제로페이든 아니든 간편 결제를 하는 사업자라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게 해서 자발적으로 경쟁하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Chosun /  🏆 2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27 13:5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