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예비후보자 등록, 지난달 22일 후보 등록 이후 길게는 4개월, 공식 운동 13일의 총선 레이스가 끝났다. 유권자들은 그동안 출퇴근길에서, 시장에서, 공공장소에서 후보와...
연말 예비후보자 등록, 지난달 22일 후보 등록 이후 길게는 4개월, 공식 운동 13일의 총선 레이스가 끝났다. 유권자들은 그동안 출퇴근길에서, 시장에서, 공공장소에서 후보와 운동원들의 수많은 인사와 악수, 명함을 받기도 하고 함께 사진도 찍었을 것이다.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 한번만 일할 기회를 달라, 반성하겠다, 회초리를 들어달라, 정권을, 야당을 심판해달라는 말을 수없이 들었고, 어쩌면 큰절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그야말로 엎드려 절 받기, 4년 중 반짝 주인 노릇이다. 이제 확성기는 꺼졌다. 거리의 후보들도 이젠 예전의 일상으로, 다시 만나기 힘든 정치인들로 돌아갈 것이다.제22대 총선 성적표가 발표된 오늘, 4월11일은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된 날이자, 대한민국 헌법의 기초가 된 ‘대한민국 임시헌장’이 공포된 날이다. 105년 전 오늘 공포된 임시헌장 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이다.
1960년 4·19 혁명, 1987년 6월 민주항쟁, 2016년 겨울 촛불항쟁의 현장마다 헌법 제1조가 울려퍼졌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현대사의 구비마다 헌법 제1조를 가슴에 담았고, 적극적으로 실현했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대한민국의 주권자는 국민이다.처음 투표하는 만 18세도, 이대남도, 이대녀도 주권자다.건물주도, 자가, 전세·월세 임대인·임차인도, 전세사기 피해자도 모두 주권자다.낙동강벨트, 한강벨트, 수도권, 영호남, 충청, 강원, 제주까지 17개 시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동 지역 주민 모두 주권자다.이공계 연구자들, 사교육업계·금융권 종사자도, 화물연대, 건설노동자도 주권자다.돌봄노동자들도, 돌봄이 필요한 이들도 모두 주권자다.장애인도, 비장애인도, 특수학교를 없애지 말라고 애원하는 이들, 특목고를 유치하겠다는 이들도 주권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향의 눈]어제도 오늘도, 대한민국의 주권자는 국민이다연말 예비후보자 등록, 지난달 22일 후보 등록 이후 길게는 4개월, 공식 운동 13일의 총선 레이스가 끝났다. 유권자들은 그동안 출퇴근길에서, 시장에서, 공공장소에서 후보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플랫 아파트 입주를 축하합니다”[플랫]“내가 좋아하는 것들로 채운 방”,“결국 안심할 수 있는 방”,“나 혼자 편히 쉴 수 있는 방”,“나에게 집중할 수 있는 방”, “내일을 준비할 수 있는 나만의 방.” 입주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한 표의 가치, 대한민국의 미래를 가른다4·10 총선 사전투표가 5~6일 이틀간 실시된다. 유권자들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신분증 확인만으로 전국 3565개 투표소 어디에서든 투표할 수 있다. 역대 총선 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현곤 칼럼] 의정 충돌에서 드러난 대한민국의 민낯이유야 어떻든 이번 의정 충돌에서 전공의가 응급실·중환자실·수술실을 떠난 건 유감이다. '이런 나라에 살기 싫어 용접을 배우고 있다' '포도 농사를 짓겠다' 같은 말이 쏟아졌다. 의사가 용접이나 포도 농사를 못 할 이유는 없다. - 고현곤 칼럼,대한민국,의정,대한의사협회 회장,증원 발표,의대 증원,응급실,의사 증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선 앞두고 다시 주목받는 ‘비동의 강간죄 도입’ [플랫]4·10 총선을 앞두고 ‘비동의 강간죄 도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일부 정당이 여성정책 공약으로 비동의 강간죄 도입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앞선 국회에서 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동의 강간죄 도입’ 공약이 “실무적 착오”라고 해명한 민주당 [플랫]더불어민주당이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총선 10대 정책공약에 비동의 강간죄 도입이 포함된 데 대해 “실무적 착오”라고 해명했다. 시민사회에선 일부 젊은 남성층 표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