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통령 집무실로 쓰였던 청와대 건물을 관광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데 앞으로 2년간 176억원의 예산을 더 들일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22년 5월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국방부로 집무실을 이전하면서 개방된 청와대를 ‘역사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 496억원이라고 밝혔지만 이는 대통령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데 드는 ‘기초공사비용’ 정도였을 뿐 파생 비용이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로 쓰였던 청와대 건물을 관광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데 앞으로 2년간 176억원의 예산을 더 들일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공개한 정부의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청와대 종합정비사업비로 2024년에 75억원, 2025년에 100억원 등 176억원을 책정했다. 이는 2022년 5월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국방부로 집무실을 이전하면서 개방된 청와대를 ‘역사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5월 청와대 개방 1주년을 맞아 “청와대 내부를 역사·문화·자연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업그레이드해 세계적인 관광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청와대 건물을 도서관, 카페, 공연 부대시설 등으로 바꿀 계획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 시절 민정수석실과 정책실장실이 있던 여민2관은 도서관과 카페 등 다목적 휴게시설로 바뀐다. 국민소통수석실과 국가안보실이 배치됐던 여민3관은 공연 부대시설로, 기자실과 브리핑실이 있던 춘추관은 전시실과 공연을 위한 다목적실로 탈바꿈한다. 경호동은 업무용으로 쓰일 예정이다.야당은 “애초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지 않았으면 쓰지 않아도 될 예산이었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 496억원이라고 밝혔지만 이는 대통령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데 드는 ‘기초공사비용’ 정도였을 뿐 파생 비용이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대통령실도 늘어난 관저 공사비용 등을 포함해 이전 비용이 516억9000만원으로 늘었다고 정정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용산 이전에 따른 도미노 예산이 끝날 기미가 안 보인다”며 “내년도 연구개발 예산은 20% 이상 삭감돼 과학기술계 연구원들의 손발이 묶였고, 공공주택 예산도 크게 줄었다. 청와대 리모델링에 100억원을 넘게 쓰는 것은 많은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관광지’ 청와대 리모델링에 2년간 176억원…“용산 이전 도미노 예산”정부가 대통령 집무실로 쓰였던 청와대 건물들을 관광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데 2년간 175억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으로 확인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용산 이전 비용 176억 추가…이번엔 “청와대 리모델링”정부가 대통령 집무실로 쓰였던 청와대 건물들을 관광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데 2년간 176억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으로 확인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와대 보고 대통령 비밀 산책로까지 'K-클라이밍' 띄운다지난해 5월 개방한 청와대와 함께 백악산을 서울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알리기 위해서다. 이원창씨는 '백악산은 1968년 북한 무장공비 사건 이후로 출입을 통제했던 터라 서울 속 DMZ라고도 한다'며 '기존에도 한양도성 순성길 백악산 구간은 있었지만 지난해 개방한 등산로를 통해 청와대, 경복궁을 훨씬 가까이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엄홍길 대장은 '백악산과 인왕산은 높지는 않아도 서울을 대표하는 명산'이라며 'K-팝, K-푸드를 넘어서 이제는 서울을 중심으로 K-클라이밍의 시대가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연금개혁 초안서 빠진 ‘더 받는’ 방안…“국고 투입해야”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더 내고 더 늦게 같은 금액을 받는’ 개혁안을 내놓으면서 노후에 연금을 얼마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광온 “9월 국회서 ‘공교육 정상화’ 입법 매듭”‘공교육 멈춤의 날’ 집회에 “상처 회복해 앞으로 나아가는 사회적 합의 보여준 전환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