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 아일랜드 거인, '죽어서도 구경거리' 신세 240년 만에 면해 SBS뉴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는 영국 런던의 헌터리언 박물관이 최근 인기 전시품목 중 하나였던 231㎝ 거구 유골을 더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하며, 그 주인공인 '아일랜드의 거인' 찰스 번의 사연을 소개했습니다.20세이던 1781년 런던으로 건너간 그는 스스로를 '아일랜드 거인'으로 소개하고 자신의 키를 사람들에게 보여줘 큰 돈을 벌고 유명인이 됐으나, 1783년 22세의 이른 나이로 숨졌습니다.
번이 살아있을 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유골 확보에 관심을 보였고, 이에 그는 자신이 죽을 경우 시신을 무거운 관에 넣어 바다 아래로 가라앉히는 수장을 치러 줄 것을 주변에 부탁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번의 골격은 얼마 지나지 않아 런던 레스터 광장에 있는 헌터의 저택에서 전시되기 시작했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간 8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헌터리언 박물관의 대표적인 컬렉션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최근 박물관 신탁위원회는 수리 작업으로 5년째 휴관 중인 박물관이 오는 3월 재개관할 때부터 더는 번의 유골을 전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헌터리언 박물관의 상급기관인 잉글랜드 왕립의과대학의 던 켐프 이사는"역사적으로 벌어진 일과 헌터의 행동은 잘못됐다"며"번의 해골을 전시에서 빼는 것이 잘못을 바로잡는 시작"이라고 지적했습니다.번의 이야기를 소설로 썼던 작가 힐러리 맨틀은"이 뼈로 과학이 얻을 수 있는 것은 다 얻었다"며"그를 영면에 들게 해주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퀸 메리 대학의 마르타 코보니츠 내분비학과 교수는"연구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