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서 北 도발 논의…美 '강력 규탄', 중·러 '美 위협 탓'
강건택 특파원=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함한 북한의 전례 없는 고강도 미사일 도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4일 머리를 맞댔다.
지난달 5일 이후 한 달 만에 북한과 관련해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미국과 유럽 등 서방 이사국들은 북한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까지 비판했다. 비이사국인 한국과 일본도 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초청돼 서방의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맨 처음 발언자로 나선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미국은 지난달 27일 이후 북한의 최근 13차례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능한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포문을 열었다.올해 북한이 쏜 탄도미사일이 총 59발이라는 사실을 두 차례나 강조한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책임있는 국가의 행동이 아니다"며"일부러 긴장을 높이고 이웃 나라들에 두려움을 일으킨 것"이라고 비판했다.
안보리에서 대북 추가 제재와 규탄 성명 채택을 막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서는"2개 나라가 안보리를 웃음거리로 만들었다"며"북한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돕는 무기를 팔았다고 해서, 북한이 미국에 대한 완충지역 역할을 한다고 해서 안보리의 책임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맹비난했다.바버라 우드워드 영국대사는"북한이 미사일 발사에 지출한 수백만 달러는 북한 전체 주민을 4주간 먹여 살릴 돈"이라며 한국, 미국과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북한 미사일 발사에 관한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발언하는 중국대사이에 맞서 장쥔 중국대사는"북한의 최근 발사 행위는 미국 등 관련국들의 말과 행동과 직접 관련돼 있다"면서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 재개와 미국의 한반도 주변 전략무기 배치 등을 그 이유로 거론했다.
안나 에브스티그니바 러시아 차석대사도 한반도 긴장 고조를 가리켜"그 이유는 명백하다. 미국이 제재와 압박을 활용해 북한에 일방적인 군축을 강요하고 있다"면서 최근 진행된 한미, 한미일 연합훈련 등을 예시했다. 에브스티그니바 차석대사는"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미국의 억지수단을 배치하는 논의가 진행 중"이라면서"평양의 미사일 발사는 미국이 북한 주변에서 벌인 근시안적인 대립적 군사 행동의 결과"라고 주장했다.대신 서방 국가들은 안보리 회의장 밖에서 북한을 규탄하는 내용의 자체 장외성명을 낭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北 ICBM 발사 규탄…추가 도발 자제하고 대화해야'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미국은 2일(현지시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규탄하고 추가 도발 자제와 대화 복귀를 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北 ICBM 발사 규탄…추가 도발 자제하고 대화해야'(종합) | 연합뉴스(워싱턴·서울=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김동호 기자=미국은 3일 북한이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백악관 '北 거의 매일 도발에 깊은 우려…대화 지속 모색'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미국 백악관은 4일(현지시간)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고위급 '북한 7차 핵실험, 중·러가 제동걸 수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북한이 잇단 미사일 도발로 7차 핵실험 의도를 뚜렷이 한 가운데, 이에 제동을 걸기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러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北, 러시아에 포탄 공급...핵실험 등 추가 도발 우려'[앵커]북한이 동해 북방한계선 너머로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미국은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는 정보를 공개하며 제재에 나설 뜻을 밝혔습니다.7차 핵실험을 포함한 추가 도발 가능성이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는 관측도 내놨습니다.워싱턴 연결하겠습니다. 권준기 특파원!북한이 우크라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황준국 주유엔대사 '안보리 침묵이 北 도발 심화로 이어져'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북한의 잇따른 탄도 미사일 도발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대해 한국 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