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아이패드도 국가·공공기관 업무에 쓴다…보안기준 마련
국가정보원은 11일 아이폰·아이패드 보안적합성 검증기준인 'iOS·iPadOS 모바일 단말 보안관리 제품의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을 홈페이지와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오는 20일까지 추가 의견을 접수한 뒤 최종안을 확정해 다음 달 1일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이론적으로는 국가·공공기관 직원들이 다음 달부터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업무용으로 쓸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실제로 국가·공공기관에서 이들 기기를 사용하려면 이번 기준에 따라 아이폰·아이패드용 보안 소프트웨어 '모바일 기기 관리'를 개발한 뒤 보안 적합성을 검증하는 국정원의 국제 공통평가기준 인증을 받아야 한다.앞서 국정원은 지난해 6월 아이폰 보안적합성 검증 기준의 개발 방침을 밝히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관련 작업을 진행했다.
안드로이드폰뿐 아니라 아이폰 등도 공공분야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청이 많았고, 최근 애플에서 MDM 기능을 보완해 정부 요구사항을 충족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은 당초 기관 소유의 아이폰·아이패드만 허용할 방침이었으나, 개인 소유 기기도 절차를 거치면 업무용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국가·공공기관이 애플 기기를 일괄 구매하는 데 따르는 예산·행정 부담과 사용자의 편의 제고, 업계 의견 등을 고려한 것이다. 국정원 관계자는"아이폰용 MDM 제품에 대한 보안기준이 마련되면서 국가·공공기관은 보안성을 갖추면서도 보다 다양한 모바일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면서"사이버안보 수호 기관으로서 업계 의견을 지속해서 수렴하며 관련 정책을 계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파트서 5일, 시골땅에서 2일... 이렇게 살아보자고아파트서 5일, 시골땅에서 2일... 이렇게 살아보자고 5도2촌 내땅마련 이효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계종 '문화재관람료' 감면 추진…총무원장 '징수 제도 개선'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대한불교조계종이 국가 문화재를 관리하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사찰 방문객들에게 받는 '관람료'를 줄이거나 면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과학기술·정보통신인 신년회 7년만 참석…'혁신 뒷받침'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10일 '국가 전략기술을 통한 미래산업 선점과 인공지능 중심의 디지털 기술 일상화, 디지털 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 1인가구 지원... 5년간 5조6430억 투입경기도, 1인가구 지원... 5년간 5조6430억 투입 경기도 1인가구 5개년계획 김동연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긴급조치 9호’ 억울한 옥살이한 교사…법원 “가족들도 위자료”박정희 전 대통령이 발령한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옥살이를 한 중학교 교사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했다. 국가손해배상 승소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