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희생이 만든 배수로…산사태 견딘 경북 영주

대한민국 뉴스 뉴스

아기 희생이 만든 배수로…산사태 견딘 경북 영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이런 말 하긴 뭣하지만, 우리는 아기 덕분에 목숨을 건진 거나 다름없죠.”

17일 오전 경북 영주시 상망동의 한 주택에서 만난 마을주민 A씨가 주택 위 야산 배수로를 가리키며 말했다. 이곳은 지난달 30일 빗물에 휩쓸린 토사가 주택을 덮치면서 생후 14개월 된 아기가 매몰돼 숨진 사고가 일어난 곳이다. 당시 상망동에는 173㎜ 비가 내렸다.

이 주택은 참사 당시 지붕과 벽면이 허물어진 모습 그대로 남아 있었다. 주택 뒤 비탈면에는 산사태를 막기 위해 쌓은 모래주머니도 그대로였다. 사고 원인이 됐던 야산 위쪽에는 방수포가 덮여 있었는데, A씨는 이 방수포에 떨어진 빗물이 장마를 대비해 만들어둔 배수로를 따라 마을 밖으로 흘러나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배수로 덕분에 추가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셈이다. A씨는 “ 장마가 오기 전에 예방 공사를 해달라고 주민들이 많은 민원을 넣었다”면서 “닷새가 지나자 굴착기 한 대로 대충 땅을 파 배수로를 만들어주더라”고 말했다. 이어 “그 사건이 없었으면 공사라도 해줬겠나. 마을주민 모두가 아기에게 목숨을 빚진 기분”이라고 했다. 영주시가 이 공사를 위해 지불한 비용은 200만원이다.

침수된 명승지 ‘예천 회룡포’ 경북 예천의 명승지 회룡포가 17일 집중호우로 인해 삼림과 경사면이 유실되는 피해를 입고 물에 잠겨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국가지정문화재에서 호우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총 39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문화재청 제공"> 침수된 명승지 ‘예천 회룡포’ 경북 예천의 명승지 회룡포가 17일 집중호우로 인해 삼림과 경사면이 유실되는 피해를 입고 물에 잠겨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국가지정문화재에서 호우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총 39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문화재청 제공 전국 각지에서 집중호우로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재난을 대비한 선제적 예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후변화 등으로 지역별로 짧은 시간 강하게 내리는 국지성 호우가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경북도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예천·영주·봉화·문경 지역에서 19명이 숨지고 8명이 실종됐다.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한 곳에서 산사태·급경사지와 관련한 선제적 안전 공사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하지만 기후변화로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잦아지는 만큼 예방 대책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사태 전문가인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재난관리가 예방 중심이 아닌 피해 복구 중심이라고 했다. 이 전 교수는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의 30%는 예방에, 70%는 복구에 쓰인다”며 “이와 반대로 선진국은 70%를 예방에 쓰고 30%를 복구에 배정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산사태 전조’ 10가지…멀쩡하던 지하수 안 나오고, 냄새가 난다‘산사태 전조’ 10가지…멀쩡하던 지하수 안 나오고, 냄새가 난다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산사태 위기 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전문가들은 산사태 취약지역에서 지하수나 샘물이 갑자기 나오지 않는다면 산사태 전조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대통령, 중대본 회의 직후 경북 예천 산사태 현장 방문 | 연합뉴스尹대통령, 중대본 회의 직후 경북 예천 산사태 현장 방문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17일 이번 집중호우로 산사태 등이 발생한 경상북도 예천군 일대를 찾아 수해 상황을 살펴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연합뉴스[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연합뉴스■ 호우로 7천500명 대피…제주 제외 전국 산사태 위기경보 '심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5 17:3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