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일주일 뒤 해의 절반을 가리는 일식을 한반도에서 볼 수 있게 됩니다.
앞으로 일주일 뒤 해의 절반을 가리는 일식을 한반도에서 볼 수 있게 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21일 오후 3시53분부터 2시간 11분가량 달이 해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고 15일 예보했다. 이번 부분일식은 날씨가 좋다면 한반도 모든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서울 기준 태양 면적의 45%가 가려진다.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지는 일식 현상은 올해 세계적으로 6월과 12월 두 차례 있다. 6월 21일에는 동유럽과 아프리카 동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금환일식 형태로 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12월에는 남아메리카 남부, 남극, 아프리카 남서부 일부 지역에서 개기일식으로 볼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일식은 6월 21일 단 한 번뿐이다.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다음 일식은 2030년 6월 1일이다. 이번 부분일식 현상은 서울 기준 오후 3시 53분 4초부터 시작돼, 오후 5시2분 27초에 최대, 오후 6시4분 18초에 끝난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태양 면적이 57.4% 가려져 가장 많이 가려진 모습으로 관측할 수 있다. 북동쪽으로 올라갈수록 가려지는 비율이 낮아져 서울의 경우 45%가 가려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천문연구원 관계자는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이지만, 북한의 평양지역에서 볼 수 있다”며 “남한 지역에서는 강원도, 그것도 바다에서 배를 타고 멀리 나가야 볼 수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