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기업 성장성 악화·수익성 둔화…중소기업 부채비율 증가

대한민국 뉴스 뉴스

2분기 기업 성장성 악화·수익성 둔화…중소기업 부채비율 증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3%

올 2분기 한국 기업의 성장성이 나빠지고 수익성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은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외부감사 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를 기록하며 1분기 0.4%에서 하락 전환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2.1%→-6.9%)은 석유화학(-17.1%), 기계․전기전자업(-15.4%)을 중심으로, 비제조업(3.6%→-0.7%)은 전기가스업(10.0%), 운수업(-14.8%) 등을 중심으로 증가율이 떨어졌다.

12일 한은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외부감사 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를 기록하며 1분기 0.4%에서 하락 전환했다. 이는 2020년 2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석유화학, 기계․전기전자업을 중심으로, 비제조업은 전기가스업, 운수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율이 떨어졌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모두 하락했다. 이성환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석유화학은 주요 생산국의 설비 증설과 글로벌 성장세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작용했고, 전기전자업은 IT 경기 부진 및 서버 수요 약세에 따른 반도체 수출액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수익성 지표도 나빠졌다. 판매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 7.1%에서 올 2분기 3.6%로 떨어졌다. 제조업은 지난해 2분기 8.6%에서 올해 2분기 2.9%로 떨어졌고, 비제조업도 5.1%에서 4.6%로 하락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떨어졌는데, 대기업 타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은 1분기 95.0%에서 2분기 90.8%로 하락했는데, 대기업은 낮아진 반면 중소기업은 높아졌다. 특히 중소기업의 부채비율은 2021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차입금 의존도는 전 분기 수준인 26.0%를 유지했는데, 중소기업의 차입금 의존도는 32.76%로 집계돼 2016년 1분기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오효정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분기 기업 매출 4% 감소...영업이익률도 반토막2분기 기업 매출 4% 감소...영업이익률도 반토막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반도체와 석유제품 등 수출품 가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빠지는 유럽 증시 전망 - 매일경제나빠지는 유럽 증시 전망 - 매일경제대형주 하락베팅 '풋옵션' 늘어서비스 물가도 상승세 둔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출 부진에 매출 뚝...2분기 침울한 성적표수출 부진에 매출 뚝...2분기 침울한 성적표[앵커]지난 2분기 우리 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줄고 영업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 경쟁률 더 높아지겠네…대기업 60%, 하반기 채용 안할듯삼성 경쟁률 더 높아지겠네…대기업 60%, 하반기 채용 안할듯전경련, 매출 500대 기업 채용 조사 불확실성 탓 채용 안하는 기업 늘어 대졸 취업 경쟁률은 81대1 달해 5대 그룹 중 유일 공채하는 삼성 20개 계열사 11일부터 서류 접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팬데믹 이후 성장 반등폭 한국 5.9%…OECD 내 중위권에 그쳐팬데믹 이후 성장 반등폭 한국 5.9%…OECD 내 중위권에 그쳐11일 OECD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OECD 회원국의 실질 GDP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4분기 대비 5.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2019년 4분기 대비 실질 GDP 증가율은 2021년 2분기 0.3%, 3분기 1.5%, 4분기 2.9%, 2022년 1분기 3.0%, 2분기 3.5%, 3분기 4.0%, 4분기 4.3%에 이어 올해 1분기 4.7%, 2분기 5.1%다. OECD는 '올해 2분기 기준 OECD의 GDP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5.1% 능가했고, 주요 7개국(G7)은 4.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며 '영국은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나머지 모든 회원국은 당시 경제규모를 뛰어넘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N수생의 ‘이과 침공’…킬러문항 없애자 경쟁 더 박 터진다는데N수생의 ‘이과 침공’…킬러문항 없애자 경쟁 더 박 터진다는데시험난도 하락 예상에 재수생 증가 국어·수학 등 특정과목 쏠림 심해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5: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