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결산 관련 언론 보도를 퀴즈로 이해해 보자.1번 문제 : 역대 최대 재정적자 117조원 vs. 역대 최대 나랏빚 1000조원. 둘 중 합당한 기사는 무엇일까?정답 : ‘역대 최대 재정적자’라는 표현은 가능하다. 그러나 ‘역대 최대 나랏빚’, ‘나랏빚, 최초로 1000조 원 돌파’란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다. 국가부채는 매년 쌓이는 누적(stock) 개념이다. 그래서 역대 최대라는 표현은 쓰면 안 된다. 다만, 재정적자는 매년 달라지는 수치다. 흑자와 적자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그래서 적자 규모가 역대 최대라는 말은 쓸 수
정답 : ‘역대 최대 재정적자’라는 표현은 가능하다. 그러나 ‘역대 최대 나랏빚’, ‘나랏빚, 최초로 1000조 원 돌파’란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다. 국가부채는 매년 쌓이는 누적 개념이다. 그래서 역대 최대라는 표현은 쓰면 안 된다. 다만, 재정적자는 매년 달라지는 수치다. 흑자와 적자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그래서 적자 규모가 역대 최대라는 말은 쓸 수 있는 표현이다. 조금 더 설명을 해보자. 작년 국가부채가 처음으로 1000조 원을 초과했다는 것은 작년 발행 국채가 1000조 원이란 뜻이 아니다. 작년에 발행한 국채, 재작년에 발행한 국채 10년 전, 20년 전 발행한 국채가 켜켜이 쌓여서 1000조 원이 된 것이다. 그래서 국채 규모는 매년 늘어나는 것은 정상이다. 이는 마치 올해는 최초로 2023년이 되었다는 말처럼 어색하다.
다만, 재정적자는 누적되지 않는 유량 개념이다.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적자 폭과 흑자 폭의 한계가 늘어날 수는 있다. 그래도 어떤 해는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서 흑자를 기록하기도 하고 어떤 해는 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작년 적자 규모가 역대 최대라는 표현은 가능하다.정답 : 아니다. 작년 총수입은 628조 원, 총지출은 682조 원이다. 그 차액은 -64조 원이다. -117조 원이 아니다. 그런데 왜 언론들은 적자 규모를 64조 원이라고 하지 않고 117조 원이라고 말할까? 이는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 을 말하지 않고 사회보장성기금에 적립되는 금액을 제외하고 추산한 관리재정수지을 언급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국민연금기금 등에 저축해 놓는 돈이 꽤 많다. 우리나라 국가부채가 약 1천조 원이지만 국민연금 기금에 저축해 놓은 돈도 약 1천조 원에 달한다.
마찬가지다.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중에 하나를 선택 할 필요가 없다. 우리나라 기재부 방식으로 국가재정규모를 파악하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대한민국이 거의 유일하다. 관리재정수지가 기재부가 발명한 독특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통합재정수지도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총지출에는 융자금 전액이 포함된다. 1조원을 빌려주고 이자를 쳐서 다시 받는 행동과 1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을 동일하게 인식하는 ‘갈라파고스 방법론’을 택한다. 물론 기재부는 국제기준으로도 우리나라 재정수지를 작성해서 IMF 등에 제출한다. IMF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재정수지는 2021년에 0%, 2022년에는 GDP 대비 -0.9%다. 즉, 2021년에는 적자재정이 아니라 균형재정을 펼쳤다. 2022년에는 재정수지 비율은 기재부 주장대로 GDP 대비 -5.4%가 아니라 -0.9%에 불과하다. 참고로 선진국 평균 재정수지 비율은 2021년 GDP 대비 -7.5%, 2022년 -4.3%다. 경제적 실질에 부합하고 국제비교가 가능한 국제통계기준 수치를 IMF에 이미 제출하면서 국제기준을 쓰지 않고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슬픈 현실이 안타깝다.일단, 2022년도는 기재부 기준으로도, 국제기준으로도 2021년보다 재정수지가 악화한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그런데 2022년도 본예산과 1차추경은 문정부 책임이지만, 2차추경은 윤정부가 편성했다. 윤정부가 편성한 2차추경안 규모는 52조 원이다.
자 정리해보자. 문재인정부 100% 책임인 2021년도 재정수지는 0%, 균형재정이다. 2022년도 재정수지는 -0.9% 적자재정이다. 그러나 이는 윤석열정부의 역대 최대 규모의 2차추경 지출에 따른 적자다. 실제로 나를 비롯해 많은 자영업자는 윤정부의 2차 추경에서 손실보상금을 현금으로 600만 원을 받았다. 문정부에게는 재난지원금을 찔끔 받고 윤정부에서는 손실보상금을 600만 원을 받은 이상 내 감정에선 윤정부가 국가 재정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하는 정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와일드카드도 젊다!…1년 사이 확 바뀐 항저우 AG 야구 예비 명단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연기되기 전인 2022년 4월 와일드카드로 예비 명단에 오른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베테랑'들이 2023년 4월에 발표된 명단에는 모두 빠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도요타 세계 판매 사상 최대 961만대…아시아 수요 늘어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도요타자동차가 2022회계연도(2022년 4월∼2023년 3월) 전 세계에서 961만대를 팔면서 사상 최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마이포토2023] '2023년 최악의 살인기업? 윤석열 정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