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강등 기업 벌써 7곳신평사 등급 감시대상에롯데렌탈 등 8개사 올라제2 홈플러스 불안 확산
올 들어 회사채 신용등급이나 전망이 하향 조정된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신용등급 감시 대상에 오른 기업도 늘고 있다. 이처럼 기업들의 신용 위험이 커지면서 시장에서는 '제2의 홈플러스'가 나올 수 있다는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나이스신용평가는 올해 들어 전방산업의 업황 둔화를 이유로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LG화학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춰 잡았다. 한국기업평가는 해외 플랜트 사업에서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낸 현대엔지니어링의 전망을 지난 1월 부정적으로 하향했다.
특히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재건에 노력을 기울이기보다 투자금 회수에 급급해 기업회생절차로 책임을 회피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데, 홈플러스처럼 사모펀드가 사들인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내년부터 PEF의 펀드들이 다수 만기가 돌아오기 때문에 PEF가 사들인 기업들의 사정이 악화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PEF들이 저금리 호황기 때 인수 자금을 대규모로 차입해 기업 인수에 대거 나섰다"며"경기 침체와 업황 둔화로 현금 창출력 대비 순차입금 수준이 높아지고 내년 펀드 만기가 대거 도래하면서 수면 아래에 있던 문제가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하향 검토 감시 대상에 롯데렌탈, 롯데오토리스, SK스페셜티, 고려아연 등 8곳이 올라갔다.
신용등급 하향 위험 기업 8곳 중 4곳이 PEF가 투자하거나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곳이다. 글로벌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는 오는 11일 롯데렌탈을 인수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롯데오토리스는 롯데렌탈의 자회사다. SK스페셜티는 한앤컴퍼니가 인수할 예정이다. 고려아연은 영풍·MBK파트너스 연합과 경영권 분쟁을 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최근 2년간 PEF가 투자한 기업 수백 곳이 파산 보호를 신청한 바 있다. 이는 1~2년 앞서 미국이 겪었던 문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에 따르면 PE와 벤처캐피털 포트폴리오사의 파산 보호 신청은 2023~2024년 205곳에 달했다. 2021~2022년 70곳 수준에 불과했던 것이 급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짝 오를 때 팔았어야”…단물 빠진 코코아, 선물 가격 녹아내리네작년 공급 부족해 가격 폭등 기업들 대체 원료 찾아 사용 수요 줄자 가격도 하락세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비트코인 강세장 주도한 건 큰 손...개인은 50만 개 넘게 팔아헤지펀드·RIA 등 EFT로 대규모 투자 반대로 개인은 50만개 이상 매도 기업들 비트코인 투자도 증가 추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경기에 기업 신용등급 뚝…화학·건설 '빨간불'3대 신용평가사 전망 분석하락기업, 상승보다 많아채권시장 영향력은 적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취임 한 달···바뀐 권력에 편승해 ‘소비자 우위’를 전복하려는 기업들 [★★글로벌]‘규제 철폐’ 앞세운 친기업 트럼프 노선 기업도 소송으로 ‘바이든 규제’ 지우기 금융위기 초래 기업들, 연준 규제 반기 항공사들은 ‘휠체어 규칙’ 무력화 소송 트럼프 체제서 ‘소비자→기업’ 힘의 이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홈플러스, 회생절차 개시 전 신용등급 이미 투기 수준으로4일 전격적으로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홈플러스에 대해 앞서 신용평가회사들이 지난달 말 기업어음 및 전자단기사채 신용등급을 사실상의 투기등급 수준으로 내렸다. 홈플러스는 4일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울회생법원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때문에 비트코인 샀다고?...더 유망한 투자처가 있다는데김지윤 DSRV 대표 국제 거래 및 송금 효율성 이유로 글로벌 기업들 서비스 도입 활발 국내서도 규제 정비 필요성 대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