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고물가, 고금리 등으로 서민들의 고통이 어느 때보다 컸던 시간이었습니다.올해는 경제 사정이 좀 나아질까요?시민들의 궁금증과 고민에 대해 전문가들의 전망을 들어봅니다.서은수 피디가 취재했습니다.[강호정 / 50대 직장인 : 너무 막막한 경제 상황이다 보니까….][박순자 / 70대 자영업...
시민들의 궁금증과 고민에 대해 전문가들의 전망을 들어봅니다.[박순자 / 70대 자영업자 : 엄청 올랐어. 올라도 그냥 오른 게 아니야.][이경자 / 시장 상인 : 물가는 점점 올라가고 있고 하루 다르고 이틀 다르고.][김광석 /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 :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하향 안정화된다는 것은 저도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게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었다는 뜻이지, 그게 물가가 더 이상 안 오른다는 뜻은 또 아닙니다.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떨어질 뿐이지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있다.]
[김광석 /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실장 : 경험해보지 못한 경기 침체가 온다. 물가 상승률이 4%를 초과하고, 그리고 경기 침체를 동반한 소위 말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에요. 물가는 치솟는데 소득만 떨어져요. 견딜 수 없는 상황이죠. 이런 걸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해요.][김광석 /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실장 : 너무 정확한 걸 지적해주셨어요. 안타깝게도 저성장 국면에서 딱 급격히 회복될 만한 그런 사인을 찾기가 어려운 국면이 아닐까 하는 그런 걱정이 돼요. 그래서 물가 잡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고 중장기적인 숙제를 해결하는 것도 같이 준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김광석 / 한국경제연구원 실장 : 금리 인하는 23년 연내에 있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22년에도 금리가 2.25%포인트 기준 금리가 인상됐거든요 1년 동안. 그런데 23년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있죠. 우리나라 변동금리 대출자가 78.5% 정도 되거든요.
[김영익 /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 저는 3천만 원이 있다면 주식 비중을 좀 늘리고 싶습니다. 화두가 경기 침체니까 주가가 추세적으로 대세 상승 국면으로 들어서는 국면은 아닐 거예요. 그래서 일정한 수준에서 박스권인데 이렇게 코스피가 박스권에 접어들면요. 이 종목 간 차별화가 굉장히 심화되거든요. 그래서 올 한해는 뭐 주가지수 자체보다는 우리 투자자들이 종목을 좀 많이 공부하셔서 투자하시면 좀 이익을 낼 수 있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지원 '이재명이 김대중보다 훨씬 대단한 이유는...'박지원 '이재명이 김대중보다 훨씬 대단한 이유는...' 박지원 성경환 손병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병장월급 100만원...월 40만원 '군대 적금'땐 1290만원 받는다 | 중앙일보이병은 60만원, 일병은 68만원, 상병은 80만원을 각각 받습니다. \r2023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명감으로 똘똘 뭉친 한국 야구…LG, WBC 대표팀 평가전 자청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현구 기자=올해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4강에 도전하는 한국 야구를 상징하는 핵심어는 '사명감'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안보 참사…군 책임 묻고 내각·대통령실 전면개편해야'(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동욱 정윤주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6일 북한 무인기 사태와 관련해 '충격적인 안보 참사를 거짓말로 덮으려 했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