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까지 친밀했던 이스라엘과 이란, 왜 중동의 앙숙이 됐나

1970년대까지 친밀했던 이스라엘과 이란 뉴스

1970년대까지 친밀했던 이스라엘과 이란, 왜 중동의 앙숙이 됐나
왜 중동의 앙숙이 됐나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8%
  • Publisher: 51%

이란이 1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을 겨냥한 보복 공격을 감행하면서,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악화돼온 양국 관계는 최악으로 치닫게 됐다. 이스라엘과 이란은 이란의 이슬...

이스라엘과 이란은 이란의 이슬람 혁명 전까지만 해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란의 팔레비 왕조는 1948년 건국을 선포한 이스라엘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는 등 우호적인 성향을 보인 바 있다. 팔레비 2대 국왕 모하마드 레자 샤가 집권했을 당시 이란은 중동에서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가 이슬람 혁명을 통해 팔레비 왕조를 축출하고 이슬람 근본주의를 내세우며 양국 관계는 급속히 변했다. 혁명 정부는 이스라엘을 ‘이슬람의 적’으로 규정했으며, 미국이라는 ‘큰 사탄’ 옆의 ‘작은 사탄’이라 불렀다. 이스라엘이 예루살렘을 불법 점령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다만 양국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일부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1980년 이란이 국경 지역인 ‘샤트 알아랍 수로’의 영유권 문제로 이라크와 8년 전쟁을 시작했을 때, 이스라엘이 이란에 무기를 공급하며 배후에서 도운 것이다. 당시 이스라엘은 이란을 통해 이라크를 견제하고, 이란 내에서의 영향력도 확보하려 했던 것으로 분석된다.하지만 이란이 그 뒤 레바논과 예멘, 시리아, 이라크 등지에서 반이스라엘 무장 단체를 조직·지원하며 양국 관계는 또다시 악화일로를 걸었다. 1992년 이스라엘 대사관 앞 폭탄 테러로 29명이 숨지고, 1994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이스라엘-아르헨티나 친선협회 건물에서 발생한 테러로 85명이 사망한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이스라엘은 이 사건들과 관련해 이란이 후원하는 레바논의 무장정파 헤즈볼라를 배후 세력으로 지목했다.

이란의 핵과 미사일 문제도 양국 갈등을 심화시켰다. 2005년 이란의 새 대통령에 오른 마무드 아마디네자드는 평소 ‘이스라엘이 지도에서 사라져야 한다’는 등 과격 발언을 내놓은 인물이었는데, 당선과 동시에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겨냥한 공격을 시작했다. 이란의 핵 과학자 여럿을 암살했고, 2010년에는 악성 코드를 이용해 이란의 우라늄 농축 시설을 마비시키도 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0월 시작된 가자 전쟁은 양국 관계를 일촉 즉발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사태 초기에는 이란의 대리 세력으로 불리는 헤즈볼라, 예멘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을 겨냥한 드론 공격을 가하거나, 홍해를 지나는 상선에 대한 공격을 벌이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 1일 이스라엘이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주재 이란 영사관을 폭격하고, 이란이 12일 만에 보복 공습을 감행하면서 양국은 전면전 위기에 빠지게 됐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왜 중동의 앙숙이 됐나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스라엘·이란, 왜 중동 최대의 적 됐나…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돌아서이스라엘·이란, 왜 중동 최대의 적 됐나…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돌아서이란이 1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을 겨냥해 드론과 미사일을 발사해 시리아 주재 자국 영사관 폭격에 대한 보복을 개시하면서 중동 지역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은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 전까지만 해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란 팔레비 왕조(1925~1979) 시절엔 이스라엘과 미국에 우호적이었다. 이스라엘이 1948년 건국을 선포한 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란,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 예고…미국엔 “끼어들지 말라”이란,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 예고…미국엔 “끼어들지 말라”이스라엘의 시리아 다마스쿠스 주재 이란 영사관 폭격 후 전운이 고조된 가운데 이란이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을 예고했다. 이란은 미국을 향해서도 이스라엘과 이란 간 갈등에 “끼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영준의 마켓관찰] 악성 민원인은 왜 공익의 적이 됐나[김영준의 마켓관찰] 악성 민원인은 왜 공익의 적이 됐나무리한 요구와 인격 모독에도기업들 다 받아주며 문제 해결나쁜 행동엔 인센티브 끊어야공동체 이익을 지킬수 있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란, 이스라엘 본토에 보복공격…드론·미사일 동원해 공습이란, 이스라엘 본토에 보복공격…드론·미사일 동원해 공습이란, IRGC 지휘관 사망에 보복공습 “이스라엘 전역서 사이렌과 폭발음” 미국·영국, 이스라엘 방어 지원 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세균도 나섰다 '노무현 조롱 묵과 못해... 양문석 결단을'정세균도 나섰다 '노무현 조롱 묵과 못해... 양문석 결단을''정치인끼린 비판'이란 이재명 발언 두고 "김대중·노무현 가치 떼놓은 생각" 직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값 첫 2300弗·유가 90弗 육박 중동 불안에 원자재 동반 상승금값 첫 2300弗·유가 90弗 육박 중동 불안에 원자재 동반 상승이스라엘·이란 충돌 우려국제원유 5개월만에 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0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