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코리아가 창간 3주년을 맞아 서울시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시대정신과 공론장의 역할'이란 제목으로 제1회 소셜코리아 포럼을 개최했다. 탄핵 이후 급변하는 정국과 새로운 시대정신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소셜 코리아 창간 3주년 기념으로 18일 오후 제1회 소셜 코리아 포럼이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비상계엄이란 칼자루를 쥐고 내란을 꾀한 현직 대통령을 탄핵한 한국 사회는 기쁨도 잠시, 갈림길에 선 현실이다. 수많은 피와 희생 위에 쟁취한 민주주의가 어떻게 이렇게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 또 아직 매듭짓지 못한 회복의 과정을 밟고 있는 우리 사회는 어디로 가야 하는지, 두 개의 커다란 질문을 마주했다. 치열한 토론이 더욱 절실한 이때, 대안 담론을 위한 열린 공론장 을 기치로 내건 소셜코리아가 18일 창간 3주년을 맞아 서울시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 시대정신 과 공론장 의 역할’이란 제목으로 제1회 소셜코리아 포럼을 열었다.
격변이 있기 전부터 준비한 이날 포럼은 계엄군을 동원해 잠시 헌정 질서를 중단시킨 ‘12·3 민주주의 참사’에 대한 개탄과 성찰, 시민사회 힘의 재발견, 우려와 희망이 교차하는 미래 전망 속에서 진행됐다. 먼저 축사에 나선 노광표 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장은 한국 사회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새로운 분기점에 놓여 있다면서, “미래를 이야기하고 준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노 이사장은 “저출생과 고령화, 기후 위기, 인공지능(AI) 혁명, 사회 불평등과 노동 양극화 등 새로운 도전에 맞설 지혜가 필요하다. 그것은 구호가 아닌 대안 담론과 정책으로 구체화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최근까지 사회적가치연대기금 이사장을 맡았던 송경용 신부도 축사에서 “정치권력은 광장의 힘으로, 선거로 바꿀 수 있지만 불평등한 사회를 바꾸는 일은 훨씬 더 지난한 일임을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래도 우리는 그 노력을 멈출 수 없다. 광장의 운동을 ‘윤석열 퇴진과 사회 대개혁 추진 운동’이라고 이름 지은 이유이기도 하다”며 ‘시대정신과 공론장의 역할’이라는 포럼의 주제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주제라고 말했다. 송 신부는 또 “아무리 큰 지식도 정의와 평등, 나눔과 돌봄이라는 사랑으로 쓰이지 않으면 오히려 흉기가 되고 폭력이 된다는 것을 역사적으로나 현실에서 보고 있다”며 이번 포럼이 이론과 현실이 교직하면서 서로를 성장, 성숙하게 하는 또 하나의 소중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면으로 축사를 대신한 김동명 한국노총위원장은 실패한 내란의 우두머리인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이후 급변하는 정국에서 새 질서를 구축하고 답을 찾기 위한 더 많은 공론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다가오는 2025년은 더욱더 많은 대안이 필요한 시기다. 한층 더 높아진 시민들의 품격에 걸맞은 새로운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질서와 체계가 필요하다”며 “오늘 포럼을 기점으로 더 많은 공론장이 만들어져 시민들에게 효능감 있는 대안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이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도 서면으로 “윤석열은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민주화가 실현되었다고 믿었던 1987년 이전으로 역사의 시계를 되돌리려고 시도했다”며 “탄핵 이후 우리는 군사독재 정권이 만들어내고 아직도 우리 사회를 규정하고 있는 낡은 세계관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또 “능력주의의 외피를 쓴 온갖 불평등을 합리화하는 거짓 이데올로기를 청산하고 공동체의 복원과 불평등 해소를 위해 지금 당장 나서야 한다. 오늘의 행사가 계엄과 탄핵의 밤을 지나 더 풍부한 논의를 만들어가는 출발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포럼은 1, 2부로 나눠 1부에서는 ‘7개 시선으로 본 오늘의 시대정신’을 주제로 신진욱 중앙대 교수, 조명래 단국대 석좌교수, 윤홍식 인하대 교수, 정홍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윤자영 충남대 교수, 이창민 한양대 교수, 이관후 건국대 교수 등이 발표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돈 잘 버는' 배달? 로켓배송 중독된 당신이 알아야 할 것[소셜 코리아] 액화노동 현실 고민한 , 따뜻한 학자가 반박하는 비정한 자본논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민주당 대표, 대구 방문 지역 발전 방안 제시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구를 방문해 지방 균형발전과 정부 역할 강조. 대구 경북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와 산업 재배치, 지역화폐 도입 필요성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은주 교수, 아이들의 학습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다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 3주년 기념 특집, 김은주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학습 문제 해결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껍데기는 가라, 이제 민중의 시간이다[소셜 코리아]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기득권 못 믿어... 힘들게 일궈낸 핵심가치들 되살려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렁에 빠진 삼성전자 구하기... 의외로 쉽고 간단한 방법[소셜 코리아] 주주·고객보다 이재용 회장이 우선? 기업 신뢰도 떨어트리는 불법과 편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똑똑한 AI 활용했는데 오히려 성과가 떨어지다니[소셜 코리아] 인간-AI 효과적인 조합 따로 있어... AI의 기술적 경계선 이해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