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달러 사라진 코인 파생상품…그래도 비트코인 기대하는 이유는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대한민국 뉴스 뉴스

100억 달러 사라진 코인 파생상품…그래도 비트코인 기대하는 이유는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에 시달리고 있다. 원래 있었던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지정학적 리스크에 트럼프 행정부의 돌발 행동이 자아내는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예측 불가능한 시기를 맞이하는 분위기다. 높아진 변동성으로 시장 유동성이 줄어든 만큼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와 같은 소식을

기다리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며칠 뒤인 2월 2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재차 폭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관세 조치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고, 미국 안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하며 투자 심리를 더욱 악화시켰다. 고율 관세로 인한 위험자산 하락 현상은 3일까지 이어지면서 10만6000달러를 오르내리던 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9만2000달러선까지 폭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 와중에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약 20억달러의 투자금이 청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이처럼 대규모 청산 사태는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 특히 알트코인 매수 자금을 증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2022년 FTX 거래소 파산 당시에도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하루 만에 10억 달러가 넘는 청산이 발생했다.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몇 개월 동안 소강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여기에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 인하를 서두를 생각이 없다”고 공언한 것을 감안하면 당분간 유동성 확대로 인한 상승장을 기대하긴 어렵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때, 2025년 2월 암호화폐 시장은 당분간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잠재적 호재로는 ▲미국 국부 펀드의 비트코인 편입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전 ▲주요 국가의 암호화폐 규제 완화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모두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변수들이다.

연방의회 다수당인 공화당은 꼭 은행이 아니어도 비은행사업자들로 하여금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게 하는 규제안을 이미 발의한 상태다. 최종적으로 어떤 내용의 법안이 통과될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지금으로서는 실리콘밸리의 빅테크 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허용될 분위기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방에 2조 계약, 트럼프 효과는 덤··· 한겨울에 삼바춤 한창인 이유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한방에 2조 계약, 트럼프 효과는 덤··· 한겨울에 삼바춤 한창인 이유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한 겨울에 ‘삼바’ 춤이 한창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약가) 가격 인하와 중국 회사 견제를 동시에 들고 나오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의 호재가 겹쳐서다. 약가 인하는 삼성바이오가 주력사업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성을 높여준다. 미·중 갈등은 중국 대표 CDMO 회사인 우시바이오의 미국내 영업을 어렵게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변동성 커져도 위험자산과 채권 골고루 투자해야 하는 이유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변동성 커져도 위험자산과 채권 골고루 투자해야 하는 이유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2017년부터 2020년 코로나 시기까지 국내외 증시 및 투자 시장은 혼돈의 끝을 경험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 같습니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평온했던 2017년을 뒤로한 채 2018년부터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혼돈 그 자체였고, 경험하지 못했던 규모의 금액과 무역 물품에 가슴을 쓸어내야 했던 순간이 많았습니다. 2018년말에는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서 사라진 2조원대 이더리움...“北 해킹조직 소행 가능성”美서 사라진 2조원대 이더리움...“北 해킹조직 소행 가능성”코인 분석가들, 北해킹조직 ‘라자루스’ 의심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일제히 하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경상수지 990억 달러 흑자…12월 역대최대 124억 달러 흑자 기록작년 경상수지 990억 달러 흑자…12월 역대최대 124억 달러 흑자 기록소요 기간 동안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호조를 보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인 대통령’ 맞나요?···관세 정책에 휘청이는 비트코인[경제밥도둑]‘코인 대통령’ 맞나요?···관세 정책에 휘청이는 비트코인[경제밥도둑]“트럼프 대통령은 ‘가상자산 대통령’ 아니었나요. 코인 그대로 들고 있는 게 맞을까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잇따른 추가관세 부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한국도 AI에서 일내나”…기아·연세대 ‘AI드림팀’ 결성[단독] “한국도 AI에서 일내나”…기아·연세대 ‘AI드림팀’ 결성그룹서 100억 이상 지원 총장이 직접 연구원장 맡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7 00:3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