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삼성·현대자동차 등 10대 재벌의 내부거래 비중이 14.5%로, 1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공시대상기업 집단 내부거래현황’을 발표했다. 올해 5월 지정된 공시대상기업 집단(자산총
정보름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관리과장이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공정위 기자실에서 2024년 지정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2023년 상품·용역 거래 현황 등’을 분석,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공정거래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공시대상기업 집단 내부거래현황’을 발표했다. 올해 5월 지정된 공시대상기업 집단 88곳의 지난해 내부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의 국내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은 1년새 0.6%포인트 확대됐다. 공정위가 관련 분석을 시작한 2011년 이래로 12년 만에 가장 높은 비중이다. 최근 5년새에는 2021년 12.9%, 2022년 13.9%에 이어 3년 연속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내부거래액은 1년 전보다 1조6천억원 줄어든 194조8천억원이었지만, 매출액 감소 폭이 내부거래 감소 폭보다 훨씬 커 내부거래 비중은 올라가는 결과가 나왔다. 총수 있는 상위 10대 집단의 내부거래액은 분석 대상 집단 88곳의 70.1%에 이른다.국내계열사 간 내부거래액 변화 폭은 현대차와 에스케이가 컸다. 현대차 내부거래액은 1년 전보다 8조2천억원 늘고, 에스케이는 5조7천억원 줄면서 두 그룹의 내부거래액 순위가 바뀌었다. 현대차의 경우 완성차 판매 호조로 부품 계열사 매출액이 늘었고, 에스케이는 유가 하락으로 계열사 매출액이 줄어든 영향이었다는 게 공정위 설명이다.
한편, 공시대상기업 집단 88곳 전체 기준으로는 국내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은 12.2%에서 12.8%로, 0.6%포인트 늘었다. 내부거래 금액도 275조1천억원에서 277조8천억원으로 2조8천억원 늘었다. 2020년부터 3년 연속 내부거래 비중 및 금액 모두 증가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삼성·현대차 등 10대그룹 내부거래 비중 늘었다지난해 총수가 있는 10대 상위 기업집단의 내부거래 금액이 3년 만에 감소했다. 다만 매출액이 더 크게 줄어 내부거래 비중은 오히려 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10대그룹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195조원…3년만에 감소(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지난해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의 내부 거래금액이 3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점심시간 은행업무 보기 힘들죠?…“9 to 6 점포 600개 있어요”국민은행 1년 만에 82곳으로 10곳 늘려 하나銀, 외국인 위해 일요일 영업하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영주 중기부 장관 “바이오 벤처 혁신 위해 현장과 소통 강화하겠다”대학·벤처사·투자사·제약사 등 바이오 전문가들과 간담회 국내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6년 만에 4.8배 증가 기술이전도 크게 늘어 오 장관, 중기부 지원 벤처 ‘입셀’ 유도만능줄기세포 시설 등 참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환율, 1410원선 ‘터치’…수입물가도 반년 만에 상승폭 최대원·달러 환율이 장중 1410원선을 넘어서는 등 2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유가와 환율이 동시에 오르면서 지난달 수입물가는 6개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도소매 일자리 15만명 '뚝'…10월 취업자 증가폭, 10만명 밑돌아(종합2보)(세종=연합뉴스) 박재현 송정은 기자=취업자 수 증가 폭이 넉 달 만에 10만명을 밑돌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