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물 국채 금리의 변동폭 상한을 0.5%에서 1%로 올리고 이를 웃도는 움직임을 용인하기로 한 것이다. 일본은 2016년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도입해 10년물 국채금리 상한선을 정해 놓고 시장 금리가 이보다 높아지면 BOJ가 국채를 사들여 금리를 낮춰왔다. 최근에는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급등해 일본 장기금리 오름세도 가팔라져 정책 수정 필요성을 키웠다.
일본은행이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1%를 초과하더라도 이를 일정 수준 허용하기로 했다. 장기 국채금리 상승을 인위적으로 억제하며 양적완화 기조를 유지해온 BOJ가 통화정책 정상화를 위한 출구전략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YCC 정책을 수정·폐지하고 통화정책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미국과의 금리 차 확대로 엔화 가치가 떨어졌고, 이것이 수입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일본 소비자물가를 끌어 올렸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7월 2.5%에서 이번에 2.8%로 상향 조정했다. 주목할 부분은 내년도 상승률이다. 이번에 기존의 1.9%에서 큰 폭 오른 2.8%를 전망치로 제시했다.하지만 BOJ는 이날 정책 전면 수정보단 미세 조정을 택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장기금리를 1% 이하로 강하게 억누르면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며 “물가상승률이 향후에도 2%대를 계속 유지할지 확실하게 예측할 만한 상황은 아직 아니다”라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BOJ가 내년 상반기 완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종료해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손영환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일본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완전히 벗어났는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내년 춘투의 임금인상률이 금년 수준을 크게 하회하는 2%대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기업들이 임금을 올리고 이를 제품 가격에 전가해야 임금과 물가가 모두 상승하면서 경기가 회복될 수 있는데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는 얘기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은행, YCC 상한선 1% 초과 용인…통화정책 정상화 한걸음일본은 2016년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도입해 10년물 국채금리 상한선을 정해 놓고 시장 금리가 이보다 높아지면 BOJ가 국채를 사들여 금리를 낮춰왔다. 최근에는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급등해 일본 장기금리 오름세도 가팔라져 정책 수정 필요성을 키웠다. 손영환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일본 기업들의 경영방식 전환과 함께 체감경기가 개선되고 있으나, 일본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완전히 벗어났는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기업들의 물가상승 예상이 약화한 가운데 내년 춘투(봄에 불이 붙는 노사 임금협상)의 임금인상률이 금년 수준(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국채 큰손 중국의 변심…금리 상승 부채질월가에서는 중국이 미 국채를 팔아 위안화 가치를 방어하는 한편, 달러 패권을 견제하는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토르스텐 슬록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이코노미스트는 이달 초 '미국 장기금리 상승의 배경에 중국이 있다'며 '중국 성장세가 둔화하고 대미 수출이 감소하면서 달러가 적어져 최근 몇 달간 빠른 속도로 미 국채를 매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 당국이 위안화 약세 방어를 위해 국유은행에 달러 매도·위안화 매수를 지시하고, 은행은 이를 위해 미 국채를 팔아 달러를 확보했을 것'이라고 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