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재정적자가 92조원에 달할 예정이다. 2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도 예산을 656조9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정부는 내년도 348조2000억원인 의무지출이 2027년엔 413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내년도 재정적자가 92조원에 달할 예정이다. 지출 증가를 최소화했지만 세수가 대폭 줄어들면서 나랏빚이 쌓일 전망이다. 2027년이면 국가채무는 14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로 복지 지출은 가파르게 증가해 곳간을 지켜야 하는 재정당국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세수 감소에 나랏빚 급증 2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도 예산을 656조9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국세수입은 367조4000억원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했다. 총지출 증가율이 2.8%에 불과하긴 했지만, 국세수입을 올해보다 대폭 낮춰 전망하면서 재정에 경고등이 켜졌다. 씀씀이를 최소화했다고 해도 돈이 안 들어오니 빚을 더 내는 구조다.이에 따라 내년도 관리재정수지는 92조원에 달할 예정이다. 적자 규모가 국내총생산의 3.9%에 달하는 수준이다. 정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빼고,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제외해 나라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지표가 관리재정수지다.
‘3% 룰’ 재정준칙 기준 넘겼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재정준칙안은 연간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GDP의 3% 이하로 제한하는 게 핵심 내용이다.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면서 법제화가 안 되긴 했지만, 정부가 만든 기준을 스스로 어기게 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재정준칙상 예외사유인 경기침체 등 대내·외 여건에 중대한 변화에 해당하는 상황”이라며 “세수 감소 폭이 워낙 커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기 재정운용계획상 2025~2027년엔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GDP 대비 2%대로 유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렇다고 해도 국가채무는 연간 70조원 이상씩 불어난다. 국가채무는 내년도 1196조2000억원에서 2027년이면 1417조6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특히 복지지출로 주로 구성되는 의무지출 증가세가 가파를 전망이다. 고령화로 인해 기초연금이나 의료보험 등 재정 소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정부는 내년도 348조2000억원인 의무지출이 2027년엔 413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증가율이 18.8%다. 같은 기간 재량지출은 308조7000억원에서 323조4000억원으로 4.8% 느는 데 그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총선 앞 '현금 살포' 없다…내년 예산 656조 긴축모드 [내년 예산]기획재정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예산의 핵심은 올해와 마찬가지로 ‘긴축 재정’이다. 지출 증가율이 ‘확장 재정’을 내건 문재인 정부 시절(2018~2022년) 연평균 증가율(8.7%)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현 정부가 처음 짠 올해 예산 지출 증가율(5.1%)보다도 떨어뜨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육아휴직 18개월, 생계급여↑…민생체감 예산 늘린다 [내년 예산]아동이 매월 5만원을 적립할 경우 기존에는 1080만원(한 달에 아동 5만원, 정부 10만원씩 6년)을 받을 수 있었다면 개편안에선 3240만원(아동 5만원, 정부 10만원씩 18년)을 받을 수 있다. 올해 1조5000억원이던 노인 일자리 사업에 2조원을 편성해 88만3000명인 노인 일자리 수를 103만명까지 확대한다. 자녀 돌봄을 위한 육아 휴직 예산으로 3000억원을 편성했는데 일과 육아의 조화를 위해 육아 휴직 유급 지원 기간을 12개월에서 18개월로 상향하고 영아를 맞돌봄할 경우 육아 휴직급여 특례 기간과 급여 상한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 예산]긴축재정 기조에도 SOC 예산은 증가정부는 내년 전반적인 '긴축 예산' 기조에도 SOC 예산은 늘린 게 눈길을 끈다. 심지어 논란을 일으킨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대회 관련 새만금 SOC 예산조차 기재부는 '문제가 있다고 해서 SOC 사업을 폐기·중단할 수는 없다'며 '(새만금) 관련 예산 추세가 꺾이는 상황이지만 사업은 계획대로 간다'고 설명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세수(국세 수입)가 부족한 상황에선 SOC 예산부터 줄여야 한다'며 'SOC는 장기·대규모 지출이 불가피한 만큼 예타를 강화해 예산 낭비 가능성을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채권개미 확 늘겠네 … 月50만원씩 20년이면 月100만원 받는다美·日·싱가포르처럼 내년 상반기부터 개인 국채투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정 갈등에… 정년연장 등 개혁과제 줄연기고용부 위원회 중 勞참여 14개총선 앞두고 노동계 강력 반발개혁 모멘텀 내년 이후 관측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패가망신 될때까지?...한국 망가뜨리는 산업스파이 처벌 높인다는데반도체·2차전지 전문가 연내 지정 후 관리 돌입 처벌 수위도 내년 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