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비만 인구가 크게 늘면서 2019년 국내 성인 비만 유병률은 36.3%로, 2009년에 비해 7% 정도 증가했다(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중증 질환 합병증 위험도 높아졌다. 같은 40세라도 비만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은 5.1배,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위험은 1.7배 높았다. 비만에 따른 합병증 증가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불렸다. 2017~2021년 5
국내 비만 인구가 크게 늘면서 2019년 국내 성인 비만 유병률은 36.3%로, 2009년에 비해 7% 정도 증가했다. 만성·중증 질환 합병증 위험도 높아졌다. 같은 40세라도 비만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은 5.1배,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위험은 1.7배 높았다.
비만에 따른 합병증 증가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불렸다. 2017~2021년 5년간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평균 7%씩 늘었다. 흡연이나 음주 때문에 발생하는 손실보다 크다. 비만의 사회적 비용은 15조6,382억 원으로 흡연·음주보다 많아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대한비만학회는 8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비만 진료 급여를 위한 건강보험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허연 교수는 “40대가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일 때 정상 체중에 심뇌혈관 질환 위험도가 38% 정도 증가하고 심근경색은 43%, 허혈성 뇌졸중은 29% 증가했다”며 “현재 비만 대사 수술이 건강보험에 적용됐지만 비만과 관련된 진료나 검사 치료가 비급여로 고비용 문제로 인해 수술 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가구 소득이 가장 높은 4분위와 가장 적은 14분위로 나눴을 때 비만이나 복부 비만 모두 취약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에 따라 건강 수명 격차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원석 교수는 “해외 사례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비만 비율이 높아지는데 우리나라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비만 비율이 높다”며 “건강 불형평성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석열 검찰, 70억 현금저수지 조성...한동훈, 얼마나 받았나특활비 수령증 1장 받고 1억 5천만 원 돈다발 제공...'피 같은 세금' 강조 한 비대위원장, 내역 밝혀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위험 번지기 시작...인터넷 은행들 '비상'5대 시중은행이 개인사업자에 내준 대출 규모가 급감했습니다.지난달 말 기준 관련 대출 잔액은 319조 2,300억 원입니다.두 달 연속 내림세로 1조 원 넘게 줄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100만 원 붓고 노후 400만 원 따박따박'... 꿈의 배당 투자[내돈내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췌장암, 아주 고약한 암이지만 치료율 점점 좋아지고 있어”췌장암은 아주 고약한 암이다. 췌장암 연간 발생자는 8,872명으로 발생 8위 암인데, 5년(2017~2021년) 생존율이 15.9%에 불과해 전체 암 생존율(72.1%)의 5분의 1 수준이기 때문이다(2021년 국가암등록통계).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망 원인 통계 결과’에서 췌장암 사망률도 10만 명당 14.3명으로 폐암(36.3명) 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손흥민 연봉 167억? 껌이지’ EPL이 매년 맞는 9조 돈벼락2021~22시즌을 기준으로 EPL 20개 구단의 매출 합계는 64억4200만 유로(9조3260억원)에 달했다. 경기일 매출액이 1억 파운드를 넘기는 축구 클럽은 전 세계적으로도 토트넘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 이하 맨유), 파리 생제르맹(프랑스)까지 딱 세 곳뿐이다. 2021~22시즌을 기준으로 맨유·리버풀·맨시티·첼시는 나란히 3억 파운드(5072억 원) 이상을 선수단 인건비로 지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업이 쏘아올린 큰 공…출산지원금 세금 확 뜯어고친다기재부,세제혜택 방향 곧 발표 연간 240만원서 600만원 예상 기업이 직원 자녀에 증여때도 비용 인정해 법인세 감면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