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산업보건의 4명 위촉 “산재 예방”newsvop
이날 시가 위촉한 산업보건의들은 지역 병·의원에 재직 중인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다.
이들 산업보건의는 성남시 소속 기간제, 공무직 등 현장에서 일하는 환경지킴이, 노인일자리 참여자, 청원경찰, 시민순찰대 등 8천여 명의 산업재해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의학적 조치와 자문 역할을 맡는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노동자의 건강진단 결과를 검토해 특수 건강검진 대상자는 상태별 조치사항에 관한 의학적 소견을 내고,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작업장의 건강장해 요소를 없애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이다.시 관계자는 “현업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 속에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게 하려고 산업보건의를 위촉했다”면서 “중대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보건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00일 만에 받은 ‘우연한’ 산재 인정500일 전 일이다. 2020년 12월20일, 영하 20℃의 한파경보가 내려진 경기도 포천에서 이주노동자 속헹 씨가 비닐하우스 안 기숙사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다.다시 이 사건이 주목을 받은 건 5월2일 근로복지공단이 산재(산업재해) 승인 결정을 했기 때문이다. 사망 후 500일이 지나서야 이뤄진 이 산재 승인 결정은 대한민국이 이주노동자의 죽음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말해준다. ‘산재 승인까지 500일이나 걸릴 일이냐?’라는 안타까움보다 우리가 더 주목해야 할 건 이주노동자의 산재 승인 결정이 보편적인 일이 아니라 아주 예외적인 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