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전 방류했던 치어들북태평양에서 자란 뒤 회귀섬진강어류생태관서 전시도 요즘 섬진강에서는 ...
지난달 섬진강에서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의 한 연구원이 연어를 포획해 들어보이고 있다. 전남도 제공
요즘 섬진강에서는 어른 팔뚝보다 큰 연어들이 잡히고 있다. 3∼5년 전 방류했던 어린 연어들이 북태평양 베링해와 알래스카 연안 등지에서 길이 60∼100㎝ 크기로 성장한 뒤 산란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다. 섬진강 연어는 국내에 수입돼 판매되고 있는 연어들처럼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아직 식탁에 오를 만큼 개체수가 많지는 않다.섬진강어류생태관은 연어를 잡아 알을 채취해 부화시켜 키운 뒤 방류하는 사업을 1998년부터 시작했다. 매년 2∼3월 섬진강 구례구간에 방류된 치어들은 3∼5년 뒤 어미 연어가 돼 다시 섬진강을 찾는다. 섬진강어류생태관은 연어들이 섬진강과 화개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주로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섬진강을 찾는 연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섬진강에서 포획된 연어는 235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9마리나 증가했다. 연어 포획은 이달까지 계속된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섬진강에서 잡힌 연어는 연평균 600여마리에 불과해 아직 상업화할 정도는 아니다. 섬진강 연어는 ‘참연어’로 국내에 주로 수입돼 판매되는 ‘대서양 연어’와는 종이 다르지만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섬진강어류생태관은 살아있는 한국 연어를 직접 볼 수 있는 특별전시를 오는 23일까지 진행한다. 기세운 섬진강어류생태관 해양수산연구사는 “섬진강 연어는 자원이 많지 않아 아직 상업화가 어렵다”면서 “연어 자원을 지켜 생물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에 더 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자축구 중국과 1-1 무승부…파리올림픽 2차 예선서 탈락한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이 올림픽 본선 진출에 또다시 실패했다. 콜린 벨 감독이 이끄는 한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은 1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문 누리집 개인정보보호정책 다 읽으려면, 월 32시간 소모노드VPN 분석…한국 가장 짧고, 독일 가장 길어‘판매’ ‘공유’ 등 위험 신호 키워드 찾아 피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잘 팔리는 식혜·수정과…‘K음료’ 수출 역대 최대올해 들어 9월까지 식혜·수정과 등 한국 음료 수출액이 5억 달러를 넘어섰다. 31일 관세청 수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80년 美 화산 폭발해 韓 안남미 먹었다'...식량 재난, 먼 일 아냐 [Y녹취록]■ 진행 : 함형건 앵커■ 출연 : 남재작 한국 정밀농업연구소 소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정부가 오염수 해양투기 반대 안 한 이유, 무서운 계획들[이게 이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두 달... 최악의 원전 사고에도 교훈 못 얻은 한국 정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대급으로 많이 온다”…외국인 ‘뇌섹남녀’ 필수코스 된 이곳“한국 전통문화 공부할래요” 중앙박물관 올해 14만명 방문 하루 600명…작년 3배 ‘껑충’ 전세계 한국어 배우기 열풍에 국립한글박물관도 문전성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