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행 필수 코스 이곳, 이렇게 바뀌면 어떨까? 창덕궁 궐내각사 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서부원 기자
겨울을 재촉하는 비가 내렸던 지난 16일, 창덕궁에서 하루를 보냈다. 서울 살던 대학 시절, 마음만 먹으면 마실 가듯 갈 수 있었는데도 그게 여의치 않았다. 서울 사람들이 남산을 더 안 가고, 무등산을 광주 사람들보다 외지인들이 더 즐겨 찾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나 할까.
창덕궁에선 우리말뿐 아니라 영어와 중국어 가이드를 제공한다. 가이드를 따라가며 해설을 듣는 건 궁궐 기행의 묘미를 더해준다.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건 천양지차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건 만고불변의 진리다. 기실 궁궐만큼 다채로운 이야기가 넘치는 곳도 없다. 비 내리는 호젓한 창덕궁을 홀로 걸었다. 동선상 정문인 돈화문에서 금천교와 진선문 방향으로 꺾는 게 보통이지만, 이번엔 궐내각사를 시작점 삼았다. 궐내각사란 궁궐 내의 관청을 통칭한다. 왕실을 보좌하는 승정원과 규장각, 내의원 등이 지붕을 맞댄 채 밀집해 있다.흡사 미로처럼 얽혀있는 궐내각사에선 빗소리가 더욱 크게 들렸다. 오가는 사람이 거의 없어 을씨년스럽기까지 했다. 드문드문 마주치는 이들이라곤 외국인 관람객들뿐이었다. 그들은 회랑처럼 이어진 작고 빼곡한 건물들이 신기한 듯 툇마루에 걸터앉아 위를 올려다보고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흔적인데,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할 때도 마룻바닥만큼은 그대로 남겨두었다고 한다. 건물에 켜켜이 아로새겨진 역사를 증명하는 것이자 복원의 의미를 성찰해보게 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내부 출입이 금지돼 있지만, 직접 맨발로 디뎌보고 싶은 욕심이 든다. 선정전의 뜬금없는 청기와는 본디 창덕궁의 건물이 아니었음을 알려준다. 옛 건물이 화재로 소실되자 광해군이 인왕산 자락에 세운 인경궁 건물을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인경궁은 인조반정의 직접적 원인이 됐을 만큼 국가재정에 부담을 준 역사였다.청기와보다 더 뜬금없는 건 입구에 세운 복도 건물이다. 선정전의 급작스러운 용도 변경으로 나중에 세워진 것이다. 정조의 장례 때 이곳에 위패를 모시면서 별도의 격식을 갖췄다. 이후 선정전은 집무 공간으로서 기능을 상실했고, 편전이 혼전으로 사용된 드문 사례로 남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3 법정 통번역인 인증 평가시험 응시원서법정 통·번역인 인증평가 법원행정처와 한국외대 연구산학단에서는 사법통역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양질의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정 통·번역인 인증평가를 진행하오니 많은 통·번역인의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접수: 통역 번역 법정통번역 법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1월에 신용카드 여기서 만들면…86만원 현금 돌려드립니다카드고릴라, 토스, 카뱅 통하면 캐시백 혜택 커져…신규 발급 대상 카드 발급 전 사전 응모 필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KTX 요금도 오르나 …'12년째 동결 운임 인상을'코레일 금융 부채만 15조원'이자 내려면 요금인상 필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약, 혼자선 끊기 어려워…“무조건 주변에 알리고 치료받아야”전문가 마약 중단 조언 초기 끊으려면 가족 지지 필수 24시간 손댈 수 없는 환경 조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플루엔자∙코로나 재유행∙인후두 질환까지... 환절기 건강 빨간불실내 공기질 개선 및 쾌적한 환경 조성 등 관리 필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입 수시 면접 어떻게?…내 학생부 완벽 숙지 뒤 ‘모의면접’대학마다 유형·방식 확인해야출제 경향·유의사항 확인 필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