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금은 아니더라도 추후에 임신・출산을 희망하는 여성 사이에 난자 동결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오세훈 서울시장이 난임 문제에 대해 간담회를 갖고 있는 모습. 서울시 제공 초저출생 위기를 겪고 있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난자 냉동비를 지원하고, 난임 시술비 소득 기준을 폐지하는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지난해 서울시의 합계출산율은 0.59명이다. 서울시는 8일 올해부터 4년 간 약 2123억원을 투입해 난임 지원을 확대한다 밝혔다. 2021년 기준 난임 진단을 받은 사람은 서울에 약 8만2000명이다. , 전국적으로는 25만명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한 해 출생아 10명 가운데 1명은 난임 치료를 통해 태어나는 상황이기도 하다. 우선 현재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에게만 지원되는 난임 시술비를 소득에 상관없이 지원한다. 난임 시술에는 시험관, 인공수정 등이 있다. 시술당 150∼400만원의 비용이 든다. 그동안 소득 기준 때문에 맞벌이 부부는 지원을 받기 쉽지 않았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시술별 횟수 제한도 없앤다.
서울에서 난임시술을 받는 인원은 2019년 4만6778명에서 2020년 5만257명, 2021년 5만3053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난자냉동 시술비도 지원한다. 전국 최초다. 난자냉동 시술을 원하는 30∼40세 여성은 결혼하지 않았더라도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받는다. 20대 여성도 난소종양 관련 질환이 있거나 항암치료 등으로 난소기능 저하가 우려되면 지원금을 받는다. 난자냉동 시술은 회당 약 250만원에서 500만원 사이의 비용이 든다. 서울시는 “지금은 아니더라도 추후에 임신・출산을 희망하는 여성 사이에 난자 동결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35살 이상 산모에게 1인당 100만원 내의 검사비용을 지원하고, 서울 거주 다태아 가정에 자녀안심 무료보험 가입도 지원한다. 지난해 서울에서 태어난 쌍둥이는 2210명, 세쌍둥이는 85명이다. 손지민 기자 [email protected]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 낳고 싶다는 데도”…‘횟수 제한’에 막힌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대구시가 저출생 극복을 위해 올해부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시 소득기준을 폐지했다. 하지만 난임으로 고통받는 부부들은 시술 횟수제한 등으로 여전히 지원 수준이 미흡하다고 토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 올해부터 반지하·고시원 등 거주자에 이주비 최대 40만 원 지원경기도, 반지하·고시원 등 거주자에 이주비 최대 40만 원 지원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 뿜으며 '항문 적시면…' 서울시 시정 질의서 나온 '비데' 왜 | 중앙일보A의원이 갑자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과 서울시 공무원에게 휴대용 비데 제품을 나눠주라고 요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부의 안식년을 방해하는 세 가지 걸림돌주부의 안식년을 방해하는 세 가지 걸림돌 서울시50플러스재단 5060지원사업 서대문50플러스센터 심정화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