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한국 신문들이 ‘위안부’ 부고 기사 말미에 나머지 생존자 숫자를 표기했다는 사실이다. 신문은 운명의 시간을 재듯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죽음을 숫자로 기호화했다. 생존자 숫자라는 ‘사회적 기표’는 ‘위안부’라는 역사적 유산과 흔적이 곧 영원히 소멸한다는 유한성에 대한 ‘기의’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15일 광복절 한국언론정보학회가 발간하는 ‘한국언론정보학보’에 실린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의 삶과 죽음에 대한 사회적 기억(한국 일간신문 부고기사를 통해)’ 제목의 논문 내용 중 일부다. 논문은 조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한국 신문들이 ‘위안부’ 부고 기사 말미에 나머지 생존자 숫자를 표기했다는 사실이다. 신문은 운명의 시간을 재듯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죽음을 숫자로 기호화했다. 생존자 숫자라는 ‘사회적 기표’는 ‘위안부’라는 역사적 유산과 흔적이 곧 영원히 소멸한다는 유한성에 대한 ‘기의’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부고기사에서 망자의 ‘실명’을 언급한 기사가 25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익명’으로 표기한 기사는 50건였다. 논문은 “전체적으로 실명 언급자가 많았지만, 아예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익명으로 처리된 망자도 적지 않았다”며 “조선일보가 익명이 가장 적었고, 경향신문이 가장 많았다. 이 결과를 보면 경향신문이 상대적으로 무명의 위안부 할머니에 대해 더 관심을 뒀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부고기사에 ‘위안부’ 할머니들의 ‘발인 일시’를 언급하지 않은 기사 56.4%를 차지했는데, 언급한 기사 43.6%보다 많았다. 이에 논문은 “일본군 ‘위안부’들은 절반 이상이 죽음의 순간에 사회적 애도를 받지 못했다”며 “발인 일시를 언급하지 않은 기사는 경향신문이 다른 3개 신문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는 경향신문이 다른 신문에 비해 사회활동을 하지 않은 익명의 ‘위안부’ 할머니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보도했음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논문은 이어 “부고기사를 분석한 결과 위안부 망자의 간략한 개인적 정보만 소개되는 비전기적인 기록방식을 보였다. 다수의 망자들은 어디에서 태어나, 언제, 어떤 경위로, 그리고 누구에 의해 일본군 ‘위안부’ 생활을 하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며 “그들이 위안부가 된 이후에도 많은 경우 어디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또 언제,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서 마지막 삶을 마쳤는지에 대한 발자취를 구체적으로 공표하지 않았다. 공적 인물을 다루는 일반 부고기사와 달리 ‘위안부’ 부고기사 다수가 그들의 삶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생략함으로써 생애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용수 할머니 '윤 대통령, 광복절인데 역사·위안부 한마디도 없어''일본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한가'라고 물었습니다.\r이용수 광복절 위안부 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민주당 '귀중한 용기, 잊지 않을 것'올해로 31주년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민주당이 '정부는 국제사회의 규정대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반인도적 범죄임을 천명하고 피해자 편에 서서 문제 해결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라고 촉구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일본과의 관계만 중요?…역사 문제는?'이 할머니는 윤 대통령에게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에 위안부 문제를 회부해달라고 요청하며 '그것이 오늘 말씀하신 자유, 인권, 법치라는 보편적 가치'라고 주장했다. 이용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윤석열대통령 광복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논평 한 줄 안 낸 대통령실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논평 한 줄 안 낸 윤 대통령과 여당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해생존자 11명... 일본, 하루라도 빨리 사죄해야''피해생존자 11명... 일본, 하루라도 빨리 사죄해야' 함평군 소녀상 일본군'위안부' 한대윤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