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AI·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으로 경기 둔화 속에서 실적 부진 전망을 극복할 기회를 엿볼 수 있게 됐다.
삼성SDS 가 국내 최대 클라우드 사업자로 공인됐다. 경기 둔화 로 삼성SDS 의 기존 주력 사업인 시스템통합(SI)과 IT아웃소싱(ITO) 사업의 매출이 올해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성장 잠재력이 높은 AI· 클라우드 부문에서 반전의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삼성SDS 는 글로벌 IT 시장 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2023년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MSP )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1위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IDC가 매출에 기반해 시장 점유율 을 조사한 것으로, MSP 에 대한 공신력 있는 순위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1위에 오른 삼성 SDS의 시장점유율은 23.9%로 집계됐다. 삼성SDS 가 업계 선두 자리에 오른 건 적극적으로 외연을 확장한 결과다. MSP 사업자는 고객사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클라우드 기업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도입할 때 컨설팅과 최적화 등 클라우드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삼성SDS는 삼성 관계사뿐만 아니라 대한항공, 한화생명 등 다양한 고객사의 클라우드 전환과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삼성SDS는 고객사에게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CSP) 사업자로도 두각을 나타냈다. IDC의 ‘2023년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CSP)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시장점유율 11%로 2위에 올랐다. 1위는 AWS가 차지했다. 클라우드 사업 부문에서의 성장에 힘입어 실적 부진이 예고된 삼성SDS가 반등의 기회를 잡을지 주목된다. 앞서 iM증권은 삼성SDS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다소 부진할 것이라며 목표 주가를 20만원에서 16만7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업계에선 경기 둔화로 인해 그룹사 고객들과의 거래(캡티브)가 줄어 주요 IT서비스 기업들의 매출 부진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클라우드 사업 부문만은 예외다. 김경민 한국IDC 이사는 “AI를 중심으로 한 기업 전체 IT시스템의 운영 모델에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MSP 시장 수요도 AI로 인한 비즈니스 변화에 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는 글로벌 MSP 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2792억 달러에서 연평균 14.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32년 8787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SDS 대표 이준희. 그동안 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등 중견기업이 양분했던 국내 MSP 시장에 LG CNS, SK C&C 등 대기업들이 앞다퉈 뛰어들면서 AI 기술을 접목한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있다. 삼성SDS는 지난해 5월 자체 생성형 AI 서비스인 ‘패브릭스’와 AI 기반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을 출시했다. 이어 11월에는 IT·통신기술 전문가인 이준희(전 삼성전자 부사장) 신임 대표를 발탁해 클라우드, AI 기반 서비스 등 미래 디지털 전환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힌 바 있다
경제 삼성SDS 클라우드 AI 실적 MSP 시장 점유율 경기 둔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팩타고라, AI 지식관리 서비스 법무법인 세종에 도입국내 로펌 중 처음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AI 지식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사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칼라일, 한국 보험시장 놓치지 않아칼라일과 아폴로는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기관투자자들 만나 연락 Establishing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국생명과학, 코스닥 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CT·MRI 촬영에 필수적인 조영제 국내 점유율 1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피너티,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 인수 예정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테에쿼티파트너스가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을 인수하며, 롯데그룹은 경영권 지분 매각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인 불장에 업비트 쏠림 심화…한 달 새 점유율 57→78% 급등(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가상자산 시장 호황이 한 달 남짓 이어지는 동안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세계그룹, 알리바바와 이커머스 동맹 - G마켓 부진 극복신세계그룹은 알리바바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지마켓의 수익성 부진 극복과 자본 시장 평판 개선을 위해 투자 회수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