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토를 잇는 길은 본디 모두 사람길이었다. 조선시대의 9대로는 우마차가 지날 수 있었어도 어디까지나 사람이 중심인 길이었다. 지금은 모든 길이 차가 중심인 찻길로 변했다. 산업문명은 속도와 기능 외의 모든 것을 앗아갔다. 차만 허락되는 폐쇄된 길로부터 인간 소외와 소통의 단절이 일어났다. 사람이 중심인 ...
지금은 모든 길이 차가 중심인 찻길로 변했다. 산업문명은 속도와 기능 외의 모든 것을 앗아갔다. 차만 허락되는 폐쇄된 길로부터 인간 소외와 소통의 단절이 일어났다. 사람이 중심인 사람길을 회복하는 것은 이 시대의 숙제이다.
국토종주에 뜻을 둔 한국인이 모두 사람길로 걸을 수 있도록 이 길의 이름을 ' HANT ' 로 명명했다. 드디어 우리 국토를 보고 느낄 수 있는 길, 지역과 지역을 잇는 도보길이 생겼다.한 배우가 국토종주를 했다. 영화도 찍었는데 물집 생기고 무릎 아프고 신체의 한계에 도전하는 극기훈련 같은 걷기가 전부이다. 말은 국토종주였지만 우리 국토를 보지 못하는 걷기였다. 지금까지 모든 도보 국토종주가 찻길인 국도를 따라 걸었기 때문에 마찬가지였다. 찻길이 아닌 사람길 루트가 없었기 때문이다. HANT는 지금까지의 둘레길과도 다르다. 둘레길은 정제된 길이다. 숲과 산 둘레에 편하게 걸을 수 있게 도보길을 닦고 필요하면 데크길도 설치해 일정 구간 자연과 벗하며 편하게 걸을 수 있게 만든 길이 둘레길이다.
6천만 명이 걷기여행을 통해 유발하는 경제효과는 천문학적이다. 가령 제주올레길의 경우 2020년 한 해 동안 약 360만 명이 제주 올레길을 걸었고, 4천억 원의 경제효과를 유발했다. 6천만 명은 그 20배에 가까운 경제효과로 일본 경제와 지역사회를 지탱하는 든든한 힘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외국인들도 걷기여행을 위해 미국을 찾고, 수많은 도보 유동인구를 만들어 내므로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가 되고 있다. 국가는 내셔널 트레일을 관리할 뿐 아니라 '내셔널 트레일의 날'을 정해 기념하고 걷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통합 여행여권, 등급 및 인증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HANT는 한국적 환경·삶의 대표성을 갖는다. 즉 한국인의 삶과 정체성을 대변하는 길이다. 국토종주 루트가 지나는 해당 지역은 한국인의 삶과 환경을 대변하는 중요한 의미로서 다가온다. HANT는 걷기 여행자 각자에게 그동안 몰랐던 우리와 국토에 대한 새로운 앎과 각성을 주는 새 기회를 열어주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인자를 제공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로써 도보 국토종주길의 기준을 제시하는 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출시 석달만에 완판' K뷰티, 파리서 희망 쐈다샹젤리제 '세포라' 매장서아모레 '립 슬리핑 마스크'수개월째 베스트 인기품목한정판은 3개월만에 동나中서 쓴맛 본 한국 화장품유럽서 새 금맥 찾기 활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리 한복판서 명품브랜드 다 제꼈다”…난리난 K뷰티의 정체는샹젤리제 ‘세포라’ 매장서 아모레 ‘립 슬리핑 마스크’ 수개월째 베스트 인기품목 한정판은 3개월만에 동나 中서 쓴맛 본 한국 화장품 유럽서 새 금맥 찾기 활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선 후 美 한반도 정책은…빅터차 '비핵화 목표 포기 절대안해'(워싱턴=연합뉴스) 김연숙 기자=미국 워싱턴DC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미 정부는 한반도의 비핵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문학 새 역사 쓰다…한강 노벨 문학상 수상(종합)(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소설가 한강(53)이 한국 작가로 최초로 노벨 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근우의 리플레이]‘나는 SOLO’ 22기 옥순을 비난하는 사람들과 리얼리티쇼의 은밀한 공모한국 리얼리티쇼의 역사는 ‘빌런’의 역사이기도 하다. 한국 예능의 주도권을 지상파에서 CJ E&M으로, 리얼 버라이어티에서 서바이벌로 옮기며 패러다임을 바꿨던 Mnet |슈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NYT, 한국 첫 노벨문학상 '여성' 주목…'가부장 문화에 저항'(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최고의 문화적 업적으로 축하받았지만, 그의 작품은 한국 문화에 대한 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