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주가 끝나도 박수는 치지 말아달라” 연주가 끝나자 긴 묵념이 이어졌습니다. 빈필하모닉 이태원참사 추모 🔽 자세히 알아보기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난 3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하는 장면. 지휘자 프란츠 벨저-뫼스트는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며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를 먼저 연주했다. WCN 제공 1년 만에 다시 한국을 찾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난 3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처음 연주한 곡은 예정에 없었다. 지휘자 프란츠 벨저-뫼스트가 포디엄에 오르자 단원 한 명이 무대 앞으로 나와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이태원 참사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먼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에어를 연주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연주가 끝나도 박수는 치지 말아달라”고 관객들에게 당부했다. 연주가 끝나자 긴 묵념이 이어졌다. 3층과 합창석까지 가득 채운 관객들도 숙연한 분위기에서 묵념에 동참했다. 빈필은 이어 원래 프로그램인 리하르트 바그너의 ‘파르지팔’ 전주곡을 연주했다. 그런데 이 곡이 끝났지만, 프란츠 벨저-뫼스트는 지휘봉을 내리지 않은 채 쉬지 않고 다음 곡으로 넘어갔다.
추모곡으로 시작해 구원과 죽음의 승화를 다룬 작품으로 이어지면서 빈 필하모닉의 이날 1부 공연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에 바치는 추모 연주회’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빈 필하모닉을 이끌고 내한한 지휘자 프란츠 벨저-뫼스트. 그는 미국 명문인 클래블랜드 오케스트라에서 20년째 상임지휘자를 맡고 있다. ©Roger-Mastroianni 2부는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8번으로 시작됐다. 예정된 연주가 모두 끝난 뒤에도 관객들의 박수가 끊이지 않자 이번엔 지휘자가 다시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빈의 왈츠는 그저 가벼운 음악에 그치는 게 아니라 빈의 정신과 문화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태원 참사 속에 앙코르곡으로 춤곡을 연주하는 데 대해 미리 양해를 구하겠다는 취지였다. 그가 고른 앙코르는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자이쎌른 왈츠’였다. 빈의 왈츠곡들은 빈 필하모닉의 ‘주특기’ 가운데 하나다. 이들이 연주하는 빈 왈츠는 유려하고 아름다웠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힘도 이태원 “사고” 추모 현수막…“수치심도 없나”‘참사’와 ‘사고’, ‘희생자’와 ‘사망자’. 이태원 참사를 대하는 정부와 여·야의 자세... 추모 플래카드에서부터 드러났습니다. 🔽 대조적인 플래카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습경보인 줄 나중에 알았다”…37분 뒤에야 울릉 대피방송“처음에 공습경보음만 울리고, 상황을 설명하는 방송은 한 30분 뒤에야 나온 것 같다. 초기 대응이 아쉬웠다” 울릉도 공습경보음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누구나 압사 직전 경험이 있다' 한국형 '과밀문화'“이태원 참사를 목도한 뒤로는 과밀 현상을 숙명으로 치부해선 안 되겠다는 생각이 확고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핼러윈 참사]이상민, 유럽에 있던 오세훈과 같은 때 ‘참사’ 처음 인지···대통령실보다도 늦게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시 유럽 출장 중이던 오세훈 서울시장은 사고 발생 1시간 5분 뒤 첫 보고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