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이 차단된 상황에서 남북은 어떤 식으로 소통한 걸까요
북한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17일 한국 정부의 대북 특사 제안을 공개했다. 한국 정부가 지난 15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보내겠다고 했지만, 북한이"불쾌하다"며 이를 거절했다는 내용이다. 지난달 31일 탈북자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문제삼으면서 북한은 지난 9일 12시 모든 남북 통신선을 차단했다. '모든' 차단 대상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간 직통전화와 군통신선은 물론 청와대와 북한의 국무위원회를 연결한 핫라인도 포함됐다. 그런데 북한의 주장을 보면 남측이 비공개로 특사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청와대도 이날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대북특사 파견을 비공개로 제의했다”며 북한과 협의가 있었음을 인정했다.우선, 정보기관의 '비공개 라인'이 가동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직 정부 당국자는"전쟁 중에도 서로 소통을 위해 협의 채널을 열어둔다"며"과거 남북관계가 냉각됐을 때도 비공개 채널은 가동됐다"고 말했다. 북한이 모든 통신선을 차단하긴 했지만 비공개 라인은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지난해 4월 서훈 원장과 장금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접촉때도 이 라인이 가동됐다는 후문이다. 남북은 1971년 9월 남북적십자회담을 위해 처음 직통전화를 개통한 이후 비공개 채널을 유지해 왔다고 한다. 72년 4월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실과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 사무실을 연결한 직통전화가 대표적이다. 중국을 비롯한 제3국에서 협의가 이뤄졌을 수도 있다. 2009년 10월 당시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싱가포르에서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만나 비공개 회담을 하거나, 2011년 5월 중국 베이징에서 비밀접촉에 나서기도 했다. 북한 UN 대표부가 설치된 뉴욕에서 만나는 ‘뉴욕 채널’도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포로 폭파 안한게 어디냐'던 송영길, 2시간뒤 '북한 용납못해'송 의원이 굳이 '대포'를 언급한 것은 이날 오후 4시쯤 자신이 했던 '(대)포로 폭파 안 한 게 어디냐'는 발언이 빚은 논란을 수습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치권 '북한 폭파' 촉각...민주당·통합당 긴급 회의 소집민주당 이해찬 대표 긴급 회의 소집…경위 파악 주력 / 통합당 '전략 없이 평화라는 현상 갇혀있다 안보불안 자초' / 정의당 '북한의 무모한 행동…누가 이해할 것인가?' / 국민의당 '상식 벗어나는 폭거…정부 유약한 타협 버려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북한 공식 확인 '요란한 폭음과 함께 비참하게 파괴'북한 매체들은 16일 오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북측에 의해 폭파된 사실을 공식 확인했습니다. 중앙방송과 중앙TV 등은 이날 오후 4시 50분 보도를 통해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6월 16일 완전 파괴됐다'면서 '14시 50분 요란한 폭음과 함께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비참하게 파괴됐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북한 조선중앙방송 '개성 연락사무소 완전 파괴''쓰레기들과 이를 묵인한자들의 죄값을 깨깨 받아내야 한다는 격노한 민심에 부응하여 북남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차단해버린데 이어 우리측 해당 부문에서는 개성공업지구에 있던 북남공동련락사무소를 완전파괴시키는 조치를 실행하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여정 위협 사흘만에...북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북한이 16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북남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북연락사무소 폭파한 북한…정경두, 합참 지하에서 지켜봤다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은 당시 합참 지하 지휘통제실에서 영상을 통해 북한의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을 지켜봤다고 합니다. 군 당국이 사전에 징후를 파악했다는 뜻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