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부모의 임종에 대한 준비와 마지막 인사에 대한 깊은 고민을 드러냅니다. 많은 임종을 곁에서 지켜본 작가가 보여주는 죽음의 현실은 우리가 흔히 몰랐던 면모를 드러냅니다.
“아버지 임종을 지킬 때, 가족 모두 어찌해야 할지 몰라 두서없이 작별을 고했어요. 누구부터 인사해야 할지,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아버지의 죽음을 착실히 준비했지만, 임종 직전 마지막 인사 만큼은 그러지 못했습니다. 결혼식, 돌잔치는 다 사회자가 있는데 임종에는 왜 사회자가 없을까요?”
✅1. 임종실 없는 병원, 그럼 어디서 죽나 수많은 임종을 곁에서 지켜봤을 텐데, 죽음은 어떤 모습으로 오나요? 돌아가시기 직전 유언을 남기고 숨을 가쁘게 쉬다 잡았던 손을 툭 떨구는 장면, 드라마에 많이 나오잖아요. 근데 우린 그렇게 드라마처럼 죽지 않아요. 돌아가신 건지, 살아 계신 건지 갸웃할 정도로 죽음은 아무렇지 않게 갑자기 와요. 우리가 죽음에 대해 잘 모르니, 드라마와 영화에서 죽는 모습을 보며 오해하는 거죠. 임종실도 없고 1인실도 잡지 못하면, 어디서 임종을 하나요? 임종 직전 병실에서 옮겨지는 곳이 바로 처치실입니다. 처치실은 간호 데스크 옆에 딸린 공간입니다. 물품을 쌓아 놓거나 다인실에서 할 수 없는 붕대 교체 작업 등을 위해 마련한 곳이에요. 임시로 임종실처럼 사용하는 거죠. 병원 임종은 여기서 많이 이뤄져요.
책에 나온 ‘의사를 향한 기계적인 믿음을 경계하라’는 말도 그런 맥락에서 나온 말인가요? 네. 우린 의료진이 시키는 대로 해야 부모님이 산다는 믿음이 있잖아요. 의사가 검사하자고 하면 안 하기도 어려워서 대부분 수락한다고요. 그런데 어떤 검사는 죽음을 기다리는 노인에게 치명적으로 위험하기도 해요.그런 사례가 있었나요? 폐암 말기의 시한부 아버지를 둔 가족 이야기인데요, 아버님이 되게 낙천적이고 씩씩하셨어요. 잘 이겨내 보자며 병원에 입원했는데, 다음 날 의사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해야 한다는 거예요. 아버님은 장 청소를 위한 약물을 모두 마셔요. 이 약물을 마셔본 분들은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잖아요. 손발이 차가워지고 진이 다 빠져요. 여든 살의 말기 암 환자가 감당하기엔 너무 힘든 거죠. 딸은 이해가 잘 안 가서 의사에게 묻거든요. 대체 말기 암 환자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왜 해야 하냐고 말이죠. 근데 의사가 이렇게 대답해요. “그럼 안 하셔도 돼요.
의사에게 질문을 많이 하면 좋은 점이 또 있어요. 부모님이 “자식 둔 보람 있네” 하며 든든해 하신다는 거예요.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자식이 대신해 주니까요. 의사가 하는 말을 다 못 알아들어도, 이 정도의 연기는 괜찮지 않을까요. 자식들은 당황하기 시작해요. 결국 장남이 의사에게 “그래서 언제 돌아가신다는 거냐”고 묻거든요. 정말 아이러니죠. 회사에 휴가 내고 온 자식, 가게 문 닫고 온 자식은 일상으로 돌아가고, 평소 병시중 들었던 막내딸만 남아요. 그리고 그날 새벽에 할아버지는 돌아가세요. 결국 막내딸 외엔 아무도 임종을 못 지킨 거죠.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AI 시대, 어떻게 자녀를 키워야 할까요?AI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과 직업 시장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김용섭 소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조언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시대, 어떻게 자녀를 교육해야 할까요?AI 시대를 맞아 기존의 교육 방식이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교육 전문가들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시대,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육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육 시스템은 여전히 바뀌지 않고 있어 부모들이 걱정하고 있습니다. 김용섭 소장은 진정한 공부는 경험을 통해 습득해야 함을 강조하고, 의학 분야의 미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시대, 어떻게 아이를 키워야 할까요?AI 시대에 맞는 교육 방법에 대한 고민. 트렌드 분석가 김용섭 소장이 제시하는 진짜 공부의 방법과 아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조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시대, 부모들이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AI가 일상과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면서, 교육 방법도 변화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의 교육 시스템은 변화가 느리므로, 부모들이 직접 자녀에게 미래를 대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을 다룹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잘난 척하면 쉽게 포기한다, 성장 마인드셋 5단계 장착법'인간의 자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진 고정 마인드셋, 그리고 '현재 능력은 노력과 학습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성장 마인드셋으로 말입니다. 평생 잘 배우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어떤 마인드셋을 선택해야 할지 너무 명확하지 않나요? 성장 마인드셋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드웩 교수는 칭찬과 피드백, 배움의 과정 등이 마인드셋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는데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①고정 마인드셋을 받아들여라 우리 안에는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이 혼합돼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