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2020년 이후 한국 영화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끝을 알 수 없는 불황기로 빠져들었지만, 직전에는 역사상 최고의 한때를 보낸다. 2019년은 '한국 영화 100주년'이 되는 해였고 극장을 찾은 관객이 2억 2000만 명을 넘으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또한 봉준호 감독의 이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았고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을 휩쓰는 믿기 힘든 쾌거를 이룩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영화 가 봉준호의 진짜 데뷔작이 나왔을 시절을 세세하게 전한다. 말로만 지나가듯 들었던 '노란문'의 실체에도 자세히 접근한다. 봉준호와 친구들 또는 친구들과 봉준호는 그때 왜 함께 모여 무엇을 어떻게 하며 시절을 보냈을까. 봉 감독 영화 세계의 시작점일 텐데 이제야 자세히 알려지는 게 신기할 따름이다.'노란문'의 시작에는 세 명이 있었다. 당시 동국대 대학원 재학 중이었던 최종태, 그와 안면을 튼 연세대 재학생 이종훈, 그리고 이종훈의 과 선배 봉준호. 최종태가 대학원 생활에 실망해 방황하던 중 이종훈과 봉준호에게 영화를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된 것이다. 최종태가 그때 대학원을 휴학하고 모델 에이전시 사업을 하고자 서교동 경서빌딩 어딘가에 조그마한 터를 마련했다고 한다.
원래 영화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지만, 최종태 감독을 제외하곤 이종훈이나 봉준호는 사회학과 출신으로 영화를 '제대로' 할 깜냥이나 요량이 보이지 않는 상태였다. 그러니 뭔가를 이룩하자는 포부 혹은 야망이 뒤따르진 않았을 테다. 그저 '이제 뭘 해야 하지?' 하는 막연한 생각 앞에서 '영화나 한 번 파볼까?' 하는 가벼운 마음이었지 않나 싶다.'노란문'이 점점 커 가는 데서도 '영화나 한 번?' 하는 마음들은 절대적으로 크게 작용한다. 여기저기서 대학생들이 몰려들어 세 명이 어느새 서른 명으로 불어난 것이다. 그들은 소풍 가듯 모여 함께 영화를 보고 각자의 생각을 나눴다. 나름 분과를 나눠 영화 공부도 하며 지식을 함량했다. 최종태가 정식으로 '노란문 영화 연구소'를 설립하고 책자도 발간했다.
지금의 대학생과 그때의 대학생은 많이 달랐나 보다. 지금은 '어떻게 해야 할까'가 중요할 텐데 그때는 '무엇을 해야 할까'가 우선이었다. 1990년대 초라면 민주화운동의 막바지 또는 끝머리를 향했을 시기로, '독재타도 호헌철폐'를 외치며 젊음을 바쳤던 수많은 대학생이 허탈함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했다. 그때 누군가는 회사를 가고 누군가는 공부를 하고 누군가는 예술에 빠졌을 테다. 한편 '노란문'으로 온 이들은 이것도 해 보고 저것도 해 보며 무엇을 할지 정해 보고자 했을 테다.의 셀링 포인트는 단연 '봉준호'다.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거장의 반열에 오른 명성에 기댄다. 또한 그의 미공개 단편 애니메이션 데뷔작 를 볼 수 있을 기회다. 봉준호 영화 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지하실'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엿볼 수 있고, 뭔가를 찾아가는 고릴라의 모습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눈물이 핑 돌지도 모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판빙빙과 이주영의 케미, 기대 이상이었다[여자가 바라본 여성 이야기]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렇게도 할 수 있다' 사비 털어 영화 만든 감독[미리보는 영화]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이란 소중한 공간이 훼손됐구나 깨달았어요'[다시 놀고 싶다, 이태원 ⑨] 기록단 김혜영씨와 신정임씨의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철우의 과학풍경] ‘생명이란 무엇인가’ 다시 묻는 물리 이론오철우 | 한밭대 강사(과학기술학) ‘슈뢰딩거의 고양이’라는 사고실험으로 널리 알려진 에르빈 슈뢰딩거(1887~1961)는 양자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살인범 누명 쓴 세 소년, 한 형사가 눈치챈 진실[리뷰]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야자키 하야오가 부끄러움 드러내며 하고 싶었던 말[리뷰] 영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