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다큐 영화 를 세 차례 봤다. 반은 기자, 반은 관객의 시선으로 개봉 전 시사회에 참석했다. 보면 볼수록 신기한 영화다. 교육을 주제로 했지만 '교육 밖의 이야기'가 여운처럼 남는다. 얼핏 남의 집 이야기인 듯 하지만, 보고 있다보면 내 집 이야기와 판박이다. 영화 속 과거의 기록 영상...
지금까지 다큐 영화 를 세 차례 봤다. 반은 기자, 반은 관객의 시선으로 개봉 전 시사회에 참석했다. 보면 볼수록 신기한 영화다. 교육을 주제로 했지만 '교육 밖의 이야기'가 여운처럼 남는다. 얼핏 남의 집 이야기인 듯 하지만, 보고 있다보면 내 집 이야기와 판박이다. 영화 속 과거의 기록 영상은 오래 전 LP를 틀어놓은 듯 '칙칙' 거리지만, 내용은 지금의 현실과 맞닿아 있다.
는 '꿈틀리인생학교'의 학생·졸업생·학부모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다. 2016년에 문을 연 꿈틀리인생학교는 '행복지수 1위 국가'인 덴마크의 '에프터스콜레'를 모티브로 삼은 1년짜리 인생설계 학교다. 지난 7일 오후 서울 용산CGV 아이파크몰에서는 정치인, 문화예술인, 언론인과 '100개의 극장 프로젝트' 관객추진단, 제작진과 출연 배우 등 140여 명이 모인 VIP 시사회가 열렸다.이들은 75분 동안 숨죽이며 영화에 몰입했다. 영화가 끝난 뒤 함께 소감을 나누는 자리에서도 '따로 또 같은' 목소리가 이어졌다. 극장에 온 건 오랜만이라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잠깐 쉬어가더라도 내 삶을 살아야지, 강요된 젊은 시절이 얼마나 아프겠냐"면서 아빠가 아들에게 마음을 전한 편지를 읽어줄 때 자신의 아들 생각에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두 아들의 아빠다.
꿈틀리인생학교 5기 졸업생이자, 이 영화의 배우 중에 한 명인 황하름 학생이 등장하자 박수 소리가 커졌다. 아르바이트 하느라 바빠서 이날 처음 영화를 봤다는 그도 대한민국 고3으로 살면서도 뭔가 마음이 따뜻해지는 순간들이 있었다면서 그 모습에 눈물이 났다고 했다. 거창연극고를 졸업한 뒤 문화에술경영을 전공하는 대학생이 된 그는 대학 면접 때"조금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이 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100개의 극장 상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김성환 대표는 관객과 직접 만나는 뭔가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이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해보니까 '배급'이 아니라 전선에 식량을 잘 전달하는 '보급'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이런 영화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정신 건강을 챙겨주는 거니까 '보급투쟁'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고 의미를 부여했다.의 저자인 편성준 작가는 영화 관람 후 페이스북에 소감을 올렸다."청소년들이 대입 준비 대신 춤이나 악기를 배우고 연극을 만드는 학교가 있다고 하면 미쳤다고 할텐데, 진짜 그런 학교에 다니는 학생과 그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는 부모가 있다. 그런데도 낙오되기는커녕 졸업 후에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서 인정받고 살고 있다"면서, 그러한 '꿈틀리인생학교'의 이야기를 담은 를 꼭 보라고 추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수능 도시락 준비할 때, 이 글 안 보면 후회합니다오는 14일은 2025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일이다. 정말 며칠 남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과거에 올렸던 글 중, 큰아이 수능 도시락 메뉴에 관한 이야기가 검색을 통해 많이 읽히고 있다. 수능 시험을 보느라 애쓰고 긴장할 아이를 위해 엄마가 해 줄 수 있는 건 간절한 기도와 정성스러운 도시락뿐이다. 하루 종일 문제와 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애 프로그램 출연한 연쇄살인범, 피해 여성의 최후*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시리즈로 이름을 날린 배우 애나 켄드릭의 감독 데뷔작 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켄드릭은 감독직을 수행함과 동시에 영화의 주연을 맡기도 했다. 본작은 1970년대에 실제로 일어났던, 연쇄살인범이 텔레비전 연애 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포츠 클라이밍의 매력은?도쿄 올림픽을 시작으로 신생 종목이 된 스포츠 클라이밍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사랑받는 스포츠가 되어가고 있다. 서울 중심부의 클라이밍장만 가도 사람들이 빽빽하게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지정된 인공 암벽에서 공식적인 규칙과 감독 아래 등반 속도나 기술적 난이도에 대한 우열을 가려 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학자 '한강 작품에 신기한 힘…노벨상 수상 우연 아냐'(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중국에서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후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학자가 한강 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53년 에베레스트 최초 등반 기록, ‘이 신발’이 29년 앞당길까100년 전 세계 최고봉인 히말라야 에베레스트(8848m)의 최초 등정에 도전했다가 실종된 산악인의 유해 일부가 발견됐다. 11일(현지시각)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자사의 다큐멘터리 팀이 1924년 실종된 영국 등반가 앤드루 어바인(1902∼1924)의 것으로 보이는 한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라면 명언' 영화감독이 달라졌다... 한국 멜로는 누가 책임지나(*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왜 일까. 네덜란드의 작가 헤르만 호프의 원작 소설 제목은 . 앞서 이탈리아, 네덜란드, 미국에서 세 차례 제작된 영화의 제목도 소설과 같다. 소설과 영화 모두 저녁 식사가 중요한 변곡점이라는 걸 제목을 통해 암시한다. 허진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