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벼랑 끝에 몰린 북·러와 달리 중국은 최근 미국과의 관계가 해빙 무드로 진입한 상태다 . 반면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에 따른 국제사회의 압박과 제재로 벼랑 끝에 몰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전략적 제휴에 거리낌이 없었다. 2019년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계기가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결렬이었다면 이번 김정은의 방러는 핵 고도화에 필요한 첨단 기술과 식량난 해결을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미사일 고도화에 따른 고립과 경제난 타개를 위해 손을 잡은 건 혈맹 관계인 중국이 아닌 러시아였다. 중국의 '이유있는 거리두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7일 북·러 무기거래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파악하지 않고 있다” “북·러 관계에 관련된 질문에는 논평하지 않겠다” 등 모르쇠로 일관했다. 마 대변인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도 북·러 정상회담과 관련 “북한 지도자의 러시아 방문에 관한 일은 북한과 러시아 사이의 스케줄”이라며 상황을 관망하는 입장으로 일관했다. 북·러 정상이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불법 행위를 도모하는 것은 상호 협력 이외엔 더 이상의 선택지가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러시아는 1년 7개월째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탄약·포탄 등 전쟁 물자와 무기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반면 북한은 각종 무기를 비축해 둔 상태지만, 인공위성·대륙간탄도미사일·핵잠수함 등 핵 무력 완성을 위한 첨단 기술의 마지막 퍼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실 고립무원의 위기 속에 김정은이 중국이 아닌 러시아와 출구 전략을 도모한 건 처음이 아니다. 2019년 4월 김정은과 푸틴의 첫 정상회담 역시 ‘하노이 노 딜’ 이후 국면 전환이 필요했던 북한의 전략적 카드로 평가됐다. 당시 김정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과의 협상이 결렬되며 대내외적으로 ‘체면’을 구겼고, 비핵화 논의의 방향성을 상실하며 위기 상황을 돌파할 새로운 뒷배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러시아 '김정은·푸틴 정상회담서 대북 식량 지원 논의할 수도'20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러 정상회담을 진행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김정은-푸틴 만남? 양국 사이 일”…북-러 밀착 ‘거리두기’중국이 곧 있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만남에 대해 “북·러 사이의 일”이라고 말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김정은 방러, 북-러 ‘위험한 무기 거래’ 경계한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년5개월 만에 러시아를 방문했다. 곧 열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북-러 정상회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러 정상회담 예상되는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어떤 곳?북-러 정상회담이 당초 예상을 뒤엎고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닌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릴 것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 '푸틴, 시진핑과 연내 정상회담 中 부총리와 논의'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장궈칭 중국 부총리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