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도 한국처럼 치열한 교육열과 높은 교육비로 인해 저출산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도시 지역의 출산율은 1.48명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도 '맹모삼천지교' 문화가 뿌리내리고 있어, 자녀 교육을 위해 고액 학비를 희생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기록적인 저출산 국가입니다. 합계 출산율 이 0.7명에 불과해 전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마 전 세계 인구학자들의 눈이 다 한국에 쏠려 있을 겁니다. 기록적인 저출산 이 가져다주는 사회적 문제가 일제히 한국에서 쏟아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인구의 절반이 30대 이하인 ‘젊은 나라’ 베트남 도 한국보다는 훨씬 덜하지만 저출산 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갈수록 출산율 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VN익스프레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베트남 출산율 은 2021년 2.11명에서 2022년 2.01명을 기록하다가 지난 2023년 1.96명으로 떨어지며 2명 이하로 내려갔습니다. 심지어 2024년 베트남 출산율 은 1.91명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돼 또 한 번 최저치를 경신할 예정입니다.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지 살펴보면 먼저 대도시 지역의 출산율 하락 추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경제 수도’인 호찌민시를 포함한 베트남 남동부 지역은 출산율이 베트남에서 가장 낮은 1.48명으로 내려갔습니다. 이에 반해 북부 산악 지역은 2.34명, 중부 고원 지역은 2.24명 등 농촌 지역은 뚜렷하게 출산율이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평균을 내면 도시 지역 출산율은 1.67명에 불과해 농촌 2.08명에 비해 훨씬 낮습니다. 도시 지역 출산율이 떨어지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중 유력한 원인 중 하나는 역시 교육입니다. 베트남은 한국과 비슷하게 ‘유교 사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맹모삼천지교’ 풍습이 베트남에서도 굉장히 강합니다. 자식 교육만큼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확실하게 밀어주려는 문화가 베트남 대도시에 깊숙하게 뿌리내려 있습니다. 베트남에 체류할 당시 친하게 지냈던 한 부부가 있습니다. 이들은 부부 모두 한국계 은행에서 일을 합니다. 똑똑하고 근면하며 붙임성이 좋기까지 합니다. 이들에게는 아들 하나, 딸 하나 두 명의 자녀가 있습니다. 최근 오랜만에 연락이 닿은 이 부부는 “딸이 프랑스에 유학하는 게 꿈이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자녀가 다니던 학교도 옮겼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이들의 자녀는 베트남어와 영어를 이중으로 쓰는 현지 사립학교를 다니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보다 학비가 더 비싼 국제학교로 자녀를 전학시켰다고 합니다. 해외에서 베트남을 찾은 주재원들이 주로 다니는 이 학교는 한 해 학비가 한화 기준으로 2500만원 정도 합니다. 자녀 둘을 보내는 학비가 한화 기준으로 5000만원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베트남에서 비교적 연봉이 높은 금융권에 다니고 있지만 두 부부가 벌어 한 해 5000만원의 학비를, 그것도 베트남에서 조달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것입니다. 실례가 될까 봐 자세한 사정은 묻지 못했지만, 아마도 이 부부는 자녀의 성공을 위해 아낌없는 희생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물론 모든 베트남 부부가 이와 같은 교육 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한국 못지않게 치열한 교육열을 지닌 베트남의 문화가 저출산의 한 원인인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남들 못지않게 훌륭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싶은데 아이가 많으면 그러지 못할 공산이 큽니다. 자연스럽게 ‘하나 낳아 잘 기르자’는 심리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도시 지역 출산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미 베트남 젊은 계층 사이에서는 아이 양육에 따른 부담감을 널리 공유하고 있습니다. 출산율을 높이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담긴 기사에 ‘하나 키우기도 얼마나 힘든데 정부가 사정을 아느냐’는 비난성 댓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미 베트남이 걷고 있는 길을 한참 먼저 걷고 있는 한국의 사정은 이보다 훨씬 심각할 것입니다. 내리막길을 걷는 한국 출산율 한복판에 살인적인 교육비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결국 저출산 대책의 시작은 자녀 교육비 문제를 어떻게 제도권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또한 이 문제는 한국의 입시 제도와 교육 시스템, 더 넓게는 학군과 부동산 문제까지 연결된 고차 방정식입니다. 누가 이 어려운 문제를 감히 풀어낼 수 있을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베트남 축구 새 영웅 김상식 감독, 미쓰비시컵 무패 우승 신화김상식 베트남 축구대표팀 감독은 동남아시아의 월드컵이라 불리는 아세안 미쓰비시일렉트릭컵(미쓰비시컵)에서 베트남 축구의 새로운 영웅으로 등극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K9 자주포, 中과 국경 맞댄 베트남 수출 임박…동남아는 처음한국의 주력 방산 수출 품목인 K9 자주포의 베트남 수출이 임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 출범 직후 미·중 경쟁이 치열한 동남아 지역에서 K9 자주포가 존재감을 드러내게 된 셈이 됐다. 20일 정통한 관련 소식통들에 따르면 한국과 베트남 정부는 한국산 K9 자주포 수출 계약에 대한 막바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 중국,베트남,베트남 수출,자주포 수출,베트남 정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 아이 멘탈이 왜이러지”...심리상담센터 매출 강남구가 1등, 교육열 높을수록 호황매일경제·오픈업 상권 분석 강남구, 심리상담센터 5년 매출 326억...2위 분당·3위 화성 교육열 높은 학부모, 자녀 멘털 케어도 적극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상식 매직에 베트남 전국 열광베트남 축구대표팀이 2024 미쓰비시일렉트릭컵 우승을 차지한 것을 계기로 베트남 전국이 김상식 감독을 비롯한 선수들에게 큰 기쁨과 열광을 보여주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녀 멘탈 관리도 교육열 順 심리상담센터 매출 1위 강남구매경·오픈업 상권 분석분당·경기 화성시 뒤이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외로 영토 넓힌 K편의점 … 몽골 700개·베트남 350개편의점 해외점포 1300개 육박GS25 2018년 베트남 첫 진출K푸드 결합 현지화전략 주효아시아 넘어 공격적 확장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