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규모 가스·석유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한 ‘경북 포항’ 지역은 석유탐사 초기부터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던 곳이다. 1차 석유 파동(1973년)으로 물가상승률이 20%대까지 치솟자 박정희 정부는 자체적인 석유 수급을 위해 포항 영일만 일대를 중심으로 다시 시추 작업에 돌입했다. 일각에선 내년 6월 이후 일본이 한ㆍ일 공동개발협정을 깨고 독자적으로 7광구를 개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첫 국정브리핑에서" 포항 영일 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포항 지역에 석유 부존 가능성이 제기된 건 1960년대부터다. 국립지질조사소는 1959년 전남 해안 우황리 일대에서 국내 최초로 석유탐사를 실시한 뒤, 1964년 포항지역에서 탐사를 이어갔다. 당시 시추 과정에서 소량의 천연가스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제성이 없어 더 이상의 개발로 이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기쁨은 오래가지 않았다. 원유라면 휘발유·경유·등유·증유·가스 등 여러 물질이 뒤섞여 나와야 하는데 정밀 분석 결과 비정상적으로 경유 함량이 높았다. 정부는 1년여 뒤인 1977년 2월 “포항 석유는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돼 시추를 중단했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일종의 해프닝으로 끝난 셈이다.
동해 가스전을 끝으로 당장 산유국의 명맥은 끊겼지만, 일본과 공동 개발 중인 '제7광구'도 아직 가능성이 남아있는 곳이다. 7광구는 제주도 남쪽이면서 일본 규슈 서쪽에 위치한 대륙붕 일부 구역을 뜻한다. 상당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돼 1974년 일본과 공동개발하기로 협정을 맺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정희 때도 석유 발견 해프닝…이번엔 진짜면 좋겠네예'기대 휩싸인 영일만 주민들공원 부지서 천연가스 발견7년 넘게 불기둥 타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해 대형 석유전 올해 하반기부터 시추…내년 상반기 결과 나와(종합)(서울·세종=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정부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진파 탐사 후 심층분석만 1년…성공시 2035년 동해 석유생산(서울·세종=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 1㎞ 심해에서 석유·가스가 부존할 가능성이 3일 정부 브리핑을 통해 공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해 대형 석유전 올해 하반기부터 시추…내년 상반기 결과 나와(서울·세종=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정부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첫 국정브리핑 “포항 영일만, 석유·가스 140억배럴 매장 가능성”···한국 산유국 될까윤석열 대통령이 3일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발표했다. 다만 실제 생산까지는 사업성 검증 등 거쳐야 할 단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정희땐 드럼 한통 발견 해프닝…이번엔 진짜면 좋겠네예”“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부터 포항 앞바다에 석유가 매장돼 있었다고 카던데. 이번에는 진짜였으면 좋겠네예” 3일 경북 포항 영일만에 위치한 여남마을에서 만난 주민 김용득(75)씨는 영일만 앞바다를 바라보면서 이렇게 말했다.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기대가 가득한 표정이었다. 여남마을 발전위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