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을 “순전한 악행”으로 ...
바이든 대통령은 10일 백악관에서 한 연설에서 “문자 그대로 순수하고 전적인 악이 세상에 풀려날 때가 있다. 이스라엘 주민들은 지난 주말 그 순간을 살아내야 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하마스의 잔인한 공격이 “이슬람국가의 최악의 광란행위”와 닮아있다면서 “인간 도덕성의 모든 규율을 위반하고 있다”고도 비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러면서 “다른 모든 나라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은 끔찍한 공격에 대응할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며 이스라엘 지원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미 항공모한 제럴드 포드호 전단의 동지중해 이동, 전투기 역내 배치 증강 등을 언급하며 후속 지원을 시사했다. 그는 “탄약과 아이언돔을 보충할 요격 무기들을 포함한 추가적 군사지원을 모색하고 있다”고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시기에 우리는 이스라엘과 함께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며 “이스라엘이 국민을 보호하고 나라를 지키고,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갖게 될 것임을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세번째 통화를 마친 직후 연단에 올랐다. 그는 10분 간의 연설에서 하마스의 아기 살해, 여성 강간 등 만행을 직설적인 표현으로 비판했다. 뉴욕타임스는 그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가장 화가 난 상태로 보였으며, 하마스의 공격을 가리켜 여러 차례 “악하다”고 묘사하고 “만행” “끔찍한” “병적인” 등의 단어를 사용했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존엄권과 자기결정권을 대변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그는 “테러리즘을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은 없다”며 “하마스가 내건 목표는 이스라엘 국가 절멸과 유대인 살상이며, 그들은 팔레스타인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하마스의 공격으로 “민간인 1000명 이상이 학살당했다”면서 이 가운데 미국인 사망자 14명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하마스에 인질로 잡힌 미국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정보 교환, 전문가 파견 등을 하겠다고도 밝혔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0명의 미국인이 실종 상태라고 이날 브리핑에서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쟁 개입 안 했지만 공격 정당”…하마스 공격 배후로 떠오른 이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과 관련해 그 배후로 의심받는 이란 정부가 “우리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번 무력 충돌로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긴 했으나, 하마스의 공격은 정당하다는 게 이란 정부의 견해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유엔 이란 대표부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에 변함없이 확고한 지지를 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타냐후 “가자지구 진입 불가피…전례없는 공격할 것”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하마스 공습 직후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에서 가자지구 지상작전이 불가피하다는 말을 했다고 악스오스가 보도했다 〈사진=AP 연합뉴스〉이스라엘이 하마스 거점인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 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미국은 이스라엘편” 모든 지원 약속미국은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을 규탄하며 군사적 지원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을 확약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통화하고 하마스 공격으로 인한 이스라엘의 피해 상황 및 미국의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 테러리스트들의 끔찍한 공격을 명백히 규탄하며 이스라엘 정부와 국민을 위해 모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 미국,이스라엘,네타냐후,이스라엘 정부,팔레스타인,하마스,조 바이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이스라엘에 세계 최대 항모전단 전진배치…“워싱턴 착각 드러나” 비판도블링컨 장관은 방송 인터뷰에서 ‘하마스 공격 목적이 미국이 꾀한 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 관계 정상화를 방해하기 위한 것이냐’는 질문에 '하마스, 헤즈볼라, 이란은 (이스라엘ㆍ사우디) 관계 정상화를 반대한다'며 '이스라엘과 사우디 등 다른 국가의 수교 노력을 막는 게 공격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해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대규모 무력 충돌 사태가 벌어지며 이스라엘과 사우디의 관계 정상화 노력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는 진단이다. 미국의 중동 연구 기관인 미·중동프로젝트의 대니얼 레비 대표는 '현재 분명한 건 이스라엘과 사우디의 관계 정상화가 과거와 마찬가지로 한낱 쇼에 불과하다는 것'이라고 WP에 말했다. - 하마스 공격,이스라엘 사우디,하마스 이스라엘,신중동전,제럴드 포드함,아이언돔 요격,미 항모전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하마스 공격은 '악'...이스라엘에 군사 지원 준비'[앵커]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 대해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순전한 악'이자 테러라며 군사 지원에 나설 뜻을 밝혔습니다.유럽을 비롯한 주요 서방 국가들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