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추모공원 2024년 준공 계획 무산... 유가족들 "같은 대한민국 정부 맞나"
한국전쟁 전후 희생된 민간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산내 골령골 추모 평화공원' 조성 사업이 8년째 하세월이다. 정부는 지난 2016년 추모 공원 조성사업을 확정했지만 아직까지 착공조차 안 하고 있다. 반면 가해자로 지목된 이승만 전 대통령의 기념관은 빠르게 추진 중이다.
민간인희생자 추모공원 건립은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1기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2010년 한국전쟁 전후민간인희생사건 신청자에 대한 조사 결과 8187건, 피해자 2만620명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정부에 추모 공간 조성 등을 권고했다. 결국 행정절차 진행에 발이 묶이면서 일 년여가 넘게 사업추진이 모두 정지되면서 논란이 생기고 있다. 그동안 발굴된 희생자 유해와 유품은 갈 곳을 정하지 못해 10여 년 넘게 충북대 임시유해안치소를 거쳐 세종추모의 집에 임시 안치돼 있다. 추가 발굴된 유해도 세종추모의 집에 임시 안치하고 있지만 이곳도 포화상태다. 현재까지 2700여 구의 유해가 이곳에 안치돼 있다.
유가족들의 원성도 커지고 있다. 대전산내골령골희생자유족회 전미경 회장은"정부를 믿고 추모평화공원 조성을 기다리던 유족 상당수가 세상을 등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대전시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고 충남 서산공항은 예비타당성조사에 탈락했는데도 설계비 10억 원이 반영됐지만 전국희생자추모공원은 사업 확정 후 정권이 두 번 바뀔 때까지 시간만 질질 끌고 있다"고 지적했다.희생자 유가족 목소리는 무시... 속도 내는 이승만 기념관 건립 사업1기 진실화해위원회가 진실규명하기로 결정한 8187건 중 이승만 정부의 불법행위로 인해 살해된 건은 79.31%에 이른다. 민간인희생자전국유족회 측은 국민보도연맹원에 의한 희생자만 최소 2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유가족들이 정부에 이승만 대통령의 책임이 있는 민간인학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정한 사과와 엄정한 평가를 요구하는 이유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영애, 이승만기념관 모금 시작하자 기부 의사 밝혀배우 이영애 씨가 이승만 대통령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 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멈춰버린 시간 속 계속되는 악몽…나는 ‘학교폭력 피해자’입니다경험자 39% ‘자살·자해 생각’98%가 ‘사이버폭력’도 당해경험한 폭력 종류 매년 증가세“가해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승만의 '과거', 이영애씨가 다시 꼼꼼하게 봤으면기념관 건립, 역사 왜곡 밑거름... 이승만, 제주4.3, 여순사건 때 학살 지시한 명령권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승만 덕분에 우리도 잘살아” 이영애 밝힌 기부 이유배우 이영애(52)가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 건립에 5000만 원을 기부한 가운데, 이영애가 기부금과 함께 전달한 편지 내용이 공개됐다. 재단법인 이승만대통령 기념재단은 지난 12일 이영애가 재단에 50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영애는 7월 이승만대통령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 발족 소식이 알려진 직후 기부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됐다. 이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영애, ‘이승만 기념관’ 계좌 오픈 전에 “기부하겠다”배우 이영애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의 기념관 건립 기금 조성을 위한 국민 모금 운동에 후원 의사를 먼저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승만대통령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이영애는 추진위원회가 발족하기 전인 지난 7월 일찌감치 후원 의사를 재단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이영애는 지인을 통해 “기념관 건립 취지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배우 이영애, 계좌 열기도 전에 '이승만 기념관 기부할게요'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1875~1965년)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을 위한 국민 모금에 배우 이영애씨를 포함한 국내·외 각계각층이 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배우 이영애씨는 추진위 발족 소식이 알려진 직후인 지난 7월 기부 의사를 밝혔다. 재단 관계자는 '당시 행정 절차상 후원 계좌가 열리지 않은 상태였는데도 이씨가 먼저 뜻을 밝혀와 놀랐던 기억이 있다'며 '당시 이씨는 지인을 통해 ‘기념관 건립 취지에 동의한다’는 의사와 함께 기부 뜻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