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간 통상 갈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갈등의 핵심은 전기차입니다. 미국 정부는 14일(현지시간)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00%...
경향신문 경제부 기자들이 쓰는 코너입니다. 한 주간 일어난 경제 관련 뉴스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전해드립니다.
일단 이날 관세 인상으로 수혜가 기대되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업체는 물론 테슬라의 주가도 반등했습니다. 다만 앞으로의 전망은 복잡합니다. 올해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향방이 달라질 수 있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물론, 당장 중국의 반격 여부에 따라 2차전지 및 전기차 기업의 주가 흐름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왜 미국은 중국에 대해 관세를 높일까요? 미래 핵심 먹거리 산업인 전기차 시장을 중국이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우선 크게 작용했습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중국이 반도체는 물론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적인 위치에 올라가도록 한 계기를 제공한 곳이 바로 미국이라는 점입니다. 전기차에 대해 논하기 전 먼저 미국의 대중 외교 정책을 살펴보겠습니다.트럼프 행정부 전까지 미국의 대중 외교 핵심은 ‘포용’ 정책이었습니다. 2000년 9월 미국 상원은 중국에 항구적정상무역관계 지위를 부여하는 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결국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하에서 대중 견제 정책으로 선회했습니다. 중국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수출 금지 조처가 대표적 사례죠. 여기에 중국이 저가 전기차를 바탕으로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까지 위협하다보니 이번엔 대대적인 관세 인상 정책을 발표한 것이죠. 이렇게 중국 정부가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은 전기차를 포함한 신산업 육성에 사용됐습니다. 중국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 지급에 힘입어 기술발전을 거듭한 BYD 등 전기차 업체들은 고품질의 초저가 전기차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인구 규모에 걸맞는 중국의 엄청난 내수 시장은 급성장의 발판이 됐죠. 다음 스텝은 수출을 통해 저가 전기차를 널리 퍼트려 전기차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겁니다.
표면적 이유 뒤에는 공급망 확충 전까지 시간을 벌어보자는 의도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제조업은 물론 전기차 배터리의 원료인 리튬, 흑연 등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높습니다. 중국의 움직임에 따라 산업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미국과 유럽은 ‘경제안보’ 차원에서 IRA 등을 통해 자국 중심으로 공급망을 형성하거나 한국, 일본처럼 믿을 수 있는 ‘친구들’을 모아 공급망을 안정화시키려고 하고 있죠. 이러한 공급망 재편이 완료돼 안정적으로 전기차 시장을 개척하기 전까진 우선 중국을 막고 의존도를 낮춰보겠다는 것이죠. 우선 국내 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기대감이 큽니다.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국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 업체의 경우에도 중저가 배터리 시장에 대응할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 중국산 전기차·소재·부품 관세 ‘징벌적’ 인상…중국 반발전기차 관세 25% -| 100%로, 리튬이온 배터리 3.3배, 반도체·태양전지 2배 인상···중국 상무부 “단호히 반대, 국내 정치적인 이유로 경제·무역 문제를 정치화 도구화하는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전기차·배터리 관세 인상 미 발표에 '무역 정치화' 반발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 〈사진=로이터·연합뉴스〉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와 전기차용 배터리,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기로 하자 중국은 미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EU 등 중국 전기차 관세 올리면 한국 반사이익 크다”제조업연맹은 지난 2월 '중국 정부의 권력과 자금 지원을 받아 값싼 중국산 자동차가 미국 시장에 들어오면 미국 자동차 업계는 멸종을 맞을 수도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는 최근 연구보고서를 통해 미국·유럽연합(EU)·한국·일본 등이 중국 친환경차에 대한 관세를 20% 인상할 경우 중국의 수출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내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유럽을 포함해 한국과 일본 자동차 메이커가 중국에 자동차 공장을 두고 있는 만큼 각국 정부가 미국 정부처럼 관세를 높이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륙도 좁다…파죽의 중국 전기차, 기술로 뽐낸 자신감‘새로운 시대, 새로운 자동차’를 주제로 4년 만에 열린 ‘2024 오토 차이나’(베이징 모터쇼)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달 25일 미디어데이 행사를 시작으로 지난 4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중국 흑연 써도 전기차 보조금 준다미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에 중국산 흑연이 들어간 배터리를 쓰더라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을 당분간 계속 지급하기로 했다. 미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부품과 핵심 광물 규정을 준수하면 각각 3750달러씩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데, 중국·북한·러시아 등 외국우려대상(FEOC)에서 부품이나 핵심 광물을 조달한 경우 이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 통상 이슈에 밝은 한국 정부 한 관계자는 '중국산 흑연이 사실상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와 전기차 업계에는 희망적'이라며 '핵심광물의 공급망 탈중국화와 국산화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 아이] 괄목상대 중국 전기차중국 전기차는 그야말로 괄목상대(刮目相對)다. 샤오미는 물론, 테슬라를 누르고 세계 1위로 우뚝 선 비야디(BYD), 유럽 자동차 브랜드를 연이어 인수한 지리 등 중국 업체들은 드높아진 인기를 안방에서 뽐냈다. 중국의 ‘전기차 굴기’를 목도하고 절치부심한다면 ‘아픈 손가락’인 중국 시장에서 다시 한번 고개를 들 수 있지 않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