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은 뉴욕타임스(NYT) 25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여성을 위한 평등을 목표로 사회가 정당한 변화를 해오는 동안, 정작 남자들의 변화에 대해선 ‘남자들은 그냥 알아서들 적응해’라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그러다 보니 특히 젊은 남성은 피해의식을 갖게 되고, ‘다시 남자가 지배하는 세상을 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의 주도적 분위기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젊은 남성은 ‘여성이 평등을 요구하고 나선 뒤부터 우리 삶의 질이 급락했다’고 느끼고 있다'며 '남자들이 느끼는 문제와 21세기에 걸맞은 남성성에 대한 이야기를 풍성하게 토론해야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NYT가 '딸의 어려웠던 시절을 겪어내면서 젊은 남성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된 것 아닌가'라고 묻자 모란은 '정말 좋은 질문'이라고 반기며 이런 답을 내놨다.
『남자의 시대는 끝났다』는 공저로 ‘도발의 아이콘’이 된 영미권 대표적 페미니스트 작가 케이틀린 모란이 신작을 냈다. 책 제목은 『남자를 어쩌지?』이다. 모란은 뉴욕타임스 25일 인터뷰에서 “여성을 위한 평등을 목표로 사회가 정당한 변화를 해오는 동안, 정작 남자들의 변화에 대해선 ‘남자들은 그냥 알아서들 적응해’라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그러다 보니 특히 젊은 남성은 피해의식을 갖게 되고, ‘다시 남자가 지배하는 세상을 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진짜 여자가 되는 법』 등으로 유쾌하면서도 도발적인 페미니스트가 된 모란은 이번 책에서 페미니즘의 완성은 남성의 변화라고 강조한다. 여성을 둘러싼 불평등을 논하고 시정을 위해 진일보하는 과정에서 정작 남성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는 일종의 자성이다. 그는 남녀의 공존과 공생을 강조한다. 그는 “사회의 주도적 분위기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젊은 남성은 ‘여성이 평등을 요구하고 나선 뒤부터 우리 삶의 질이 급락했다’고 느끼고 있다”며 “남자들이 느끼는 문제와 21세기에 걸맞은 남성성에 대한 이야기를 풍성하게 토론해야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페미니즘이 걸어온 길에 대한 그의 생각을 묻는 질문에 모란은 “젊은 세대 페미니스트들은 선배인 우리보다 더 마음이 열려 있고 진지하다”면서도 “그러나 때론 유머 감각과 유쾌함을 잃어버린 듯한 느낌도 든다”는 답을 내놨다.NYT가 “딸의 어려웠던 시절을 겪어내면서 젊은 남성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된 것 아닌가”라고 묻자 모란은 “정말 좋은 질문”이라고 반기며 이런 답을 내놨다.
“딸이 우울증을 겪고 힘들어하는 걸 보며 그 슬픔이 두려웠다. 어떻게 그 슬픔을 대면해야 할지 몰랐기 때문이다. TED 강연부터 신앙까지 다 시도해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결국 답은 내게 있었다. 딸에게 그냥 계속 가서 왜 우울한지, 힘든지를 묻는 것. 어찌 보면 지금의 젊은 남성도 많이들 그렇지 않을까. 딸도 결국 잘 이겨냈듯, 젊은 남성 세대도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남자의 시대는 끝났다』던 페미니스트, 이번엔 『남자를 어쩌지?』뉴욕타임스(NYT) 25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모란은 '여성을 위한 평등을 목표로 사회가 정당한 변화를 해오는 동안, 정작 남자들의 변화에 대해선 '남자들은 그냥 알아서들 적응해'라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그러다 보니 특히 젊은 남성은 피해의식을 갖게 되고, '다시 남자가 지배하는 세상을 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의 주도적 분위기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젊은 남성은 '여성이 평등을 요구하고 나선 뒤부터 우리 삶의 질이 급락했다'고 느끼고 있다'며 '남자들이 느끼는 문제들과 21세기에 걸맞은 남성성에 대한 이야기를 풍성하게 토론해야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젠더 평등이 한창 부상할 때 사회 분위기는 '백인 남성은 악덕한 남성성을 갖고 있다'는 식으로 여겨졌고, 사람들은 침묵했다'며 '이젠 여성에 대한 이야기만큼 남성에 대한 담론도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적의 적은 우리 편? ‘미-중-러 삼각관계’ 불 지른 김정은미-중 대결, 중-러 연대, 미-러 충돌 구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미 학살 희생자 위로 비문, 한국 압력에 봉인…언제 다시 복원될까[베트남전 파병, 60년의 기억] 하미 비문 쓴 응우옌흐우동 작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윤 대통령 “북한 핵 사용시, 정권 종식시킬 것”윤석열 대통령은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가 열린 26일 “북한이 핵을 사용할 경우 한·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국무 '한미 필수 글로벌 파트너십...북러 위험한 양방향 관계'[앵커]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70주년을 맞은 한미 동맹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2억㎞ 대장정 ‘태양계 타임캡슐’ 왔다, 소행성 흙 250g 실고미 탐사선 채취한 250g 캡슐, 유타주 사막 착륙지구 출발서 귀환까지 7년 62억km 대장정 성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