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뉴욕 지하철 흑인 '헤드록 사망' 파장 확산

대한민국 뉴스 뉴스

미 뉴욕 지하철 흑인 '헤드록 사망' 파장 확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TN24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63%

[앵커]뉴욕 지하철에서 백인 승객이 흑인 노숙자를 목 졸라 숨지게 한 사건의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고질적인 인종차별 문제뿐만 아니라 노숙인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대응을 둘러싼 논쟁이 확산하고 있습니다.보도에 김대겸 기자입니다.[기자]뉴욕 맨해튼 지방검찰청 앞에 시위대 수십 명이 집...

고질적인 인종차별 문제뿐만 아니라 노숙인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대응을 둘러싼 논쟁이 확산하고 있습니다.뉴욕 지하철에서 흑인 노숙자를 목 졸라 숨지게 한 가해자를 당장 기소하라는 겁니다.

[카디자 해인스 / 뉴욕 공산주의청년단 : 조던은 현대판 린치에 당한 겁니다. 조던은 애초에 쫓겨나서도, 기차에서 살아도, 굶주려도 안 됐습니다. 우리는 살인자 대니얼 페니를 기소하라고 말하기 위해 오늘 여기 왔습니다.]24살의 해병대 출신 백인 승객이 바닥에 쓰러진 흑인 뒤에서 목을 조르고, 다른 2명의 승객은 흑인이 저항하지 못하게 팔과 어깨를 제압합니다.피해자는 정신병력이 있던 30대의 흑인 노숙자 조던 닐리로, 한때 뉴욕 지하철에서 마이클 잭슨 춤을 추는 사람으로 유명했습니다.백인 가해자는 구금됐다 풀려난 후 맨해튼 지방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뉴욕 등 대도시에서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노숙인이 급증했는데도 당국이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이번 사건으로 인종차별과 공공안전, 빈부격차 등 사회 문제가 한꺼번에 드러나면서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TN24 /  🏆 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뉴욕 지하철 난동 흑인 '헤드록 사망'‥과잉 대응 논란뉴욕 지하철 난동 흑인 '헤드록 사망'‥과잉 대응 논란미국 뉴욕에서는 한 흑인 청년의 죽음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하철 안에서 소란을 피우던 흑인 노숙자 청년이 백인 남성들에게 무자비하게 제지를 당하는 과정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하철 소란에 '헤드록'…미 30대 남성 결국 숨져|월드 클라스지하철 소란에 '헤드록'…미 30대 남성 결국 숨져|월드 클라스[김하은 앵커]이번엔 제가 화제가 된 지구촌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오늘(5일) 날씨도 안 좋은데 기분을 더 가라앉게 만들지도 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뉴욕 지하철서 고성 지르던 흑인, 백인 헤드록에 사망美 뉴욕 지하철서 고성 지르던 흑인, 백인 헤드록에 사망미국 뉴욕시 지하철에서 흑인 정신질환자가 다른 승객에게 헤드록이 걸린 상태로 제지당해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AP통신은 현지시간 지난 1일 뉴욕 지하철 열차 안에서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던 흑인 남성 30살 조던 닐리가 다른 승객에게 헤드록으로 목이 졸린 후 사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지하철서 소란 피운 흑인, 헤드록 건 백인…축 늘어져 숨졌다 | 중앙일보미국 지하철서 소란 피운 흑인, 헤드록 건 백인…축 늘어져 숨졌다 | 중앙일보헤드록을 걸었던 승객은 전직 해병대 군인으로, 구금됐다가 혐의 없이 풀려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욕 지하철서 ‘헤드록’ 걸려 사망한 노숙인···“누가 닐리를 죽였나?”뉴욕 지하철서 ‘헤드록’ 걸려 사망한 노숙인···“누가 닐리를 죽였나?”지난 1일(현지시간) 뉴욕 지하철에서 발생한 노숙인 질식사 사건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 사건은 미국 사회의 해묵은 인종 문제 뿐 아니라 공공장소의 안전 문제, 노숙인과 정실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돌봄과 대처 등 여러 갈래의 논쟁을 촉발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07: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