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20일 발표한 ‘2022 국가별 인권 보고서’ 내용 중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사용을 둘러싼 문화방송(MBC)에 대한 압박을 다룬 부분에서 ‘폭력과 괴롭힘’이라는 소제목이 하루 만에 삭제됐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20일 발표한 ‘2022 국가별 인권 보고서’ 내용 중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사용을 둘러싼 에 대한 압박을 다룬 부분에서 ‘폭력과 괴롭힘’이라는 소제목이 하루 만에 삭제됐다. 21일 국무부의 ‘2022 국가별 인권 보고서’ 한국편을 보면, 전날 발표 때 표현의 자유를 다룬 장에 있던 ‘폭력과 괴롭힘’이라는 문구가 사라졌다. 이 소제목은 지난해 9월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난 직후 윤 대통령이 비속어를 사용한 상황을 보도한 에 대한 윤 대통령의 비난 발언 등을 전하는 대목의 들머리에 있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등의 행위를 언론에 대한 ‘폭력과 괴롭힘’의 사례로 든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국무부는 소제목 삭제에 대해 “그 소제목은 인권 보고서의 표준 용어”라면서도 “사건의 기술에 적합하지 않아 명확성을 위해 제거했다”고 에 밝혔다. 국무부 설명대로 ‘폭력과 괴롭힘’은 이 보고서가 언론 탄압을 기술할 때 다수 국가에 관한 내용에서 쓴 소제목이다. 그런데도 국무부가 이 표현을 보고서 발간 이튿날 갑작스레 삭제한 것은 한국 정부와 관계를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한국 쪽 요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진 외교장관은 국회에서 이 보고서에 대해 “언론 보도에 대해 비정부기구 등의 단체에서 언급한 내용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취합·기술한 것”이라며 “각 사안에 대한 평가라든지 미국 측 정책적 판단은 포함된 것이 아니라는 게 미국 국무부의 설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소제목만 사라졌을 뿐,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법률 해석·적용을 통해 언론·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평가하며 이전과 다름 없이 사례 등을 꼽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 국무부 “윤 대통령, MBC 전용기 탑승 배제는 폭력·괴롭힘”미국 국무부는 이날 공개한 ‘2022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한국 정부는 공공의 토론을 제한하고 개인과 언론의 표현을 검열하는 데에 명예훼손법을 사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윤석열 MBC 전용기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폭력과 괴롭힘’ 사라진 美인권보고서와 일본산 멍게에 대한 대통령실 입장윤석열 정부의 표현의 자유 논란을 다룬 미국 국무부의 인권 보고서에서 ‘폭력과 괴롭힘’이라는 소제목이 삭제됐다. 대통령실은 삭제 요청을 했는지 묻자 즉답하는 대신 “즉각 수정한다는 것은 그 보고서가 정확치는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고도 볼 수 있다”고 답했다.미국 국무부의 ‘2022 국가별 인권보고서: 한국’편은 ‘언론·표현의 자유’ 문제가 불거진 사례로 윤 대통령 비속어에 대한 MBC 보도와 여권의 압박을 다루고 있다. MBC를 향한 대통령의 비판, 여당 정치인의 법적조치, MBC 기자에 대한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 등이 서술돼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국무부 “한국, 명예훼손죄로 표현의 자유 제한”…MBC 사건도 거론미국 국무부가 20일(현지시간) 펴낸 한국 인권 상황에 관한 연례 보고서에서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당시 MBC의 ‘비속어 논란’ 보도에 대한 한국 정부·여당의 대응을 언론 및 표현의 자유 침해 사례로 꼽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이제 日 당당하고 자신있게 대해야'...전재수 '우리 정부 외교 큰일'윤 대통령, 국무회의서 방일 결과 보고 / 윤 대통령 '일본, 이미 수십 차례 과거사 사과' / 윤 '이제 일본 당당하고 자신있게 대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 침묵했던 미, 언론 대응엔 '폭력적' 평가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 침묵했던 미, 언론 대응엔 '폭력적' 평가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