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주도하는 오픈랜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화와 가상화를 통해 장비 업체의 힘을 빼고 소프트웨어·클라우드 사업자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전환시키려는 시도입니다.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의 전장은 네트워크 에도 넓게 펴져 있습니다. 차세대 통신의 핵심 요소로 떠오른 ' 오픈랜 (Open-RAN)'이 그것입니다. 미국이 밀어올린 오픈랜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통신사들도 기술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오픈랜 은 다양한 공급자의 장비와 소프트웨어 를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무선 네트워크 접근 방식입니다. 통신망의 구성 요소를 표준화하여 서로 다른 업체의 제품을 가져다 쓸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크게 개방화와 가상화 두 가지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동통신망의 기본 구조는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접속망(RAN·Radio Access Network)'과 다른 망을 서로 연결하는 '핵심망(Core Network)'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여기서 랜을 구성하는 무선장치(RU), 분산장치(DU) 등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를 공개된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게 개방하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통신사가 특정 장비 제조업체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일괄적으로 구매·설치해야 했는데, 오픈랜에서는 각 부분별로 복수의 제조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어 '벤더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오픈랜은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통신 품질을 제공하고, 최근 가장 중요한 흐름인 인공지능(AI)을 접목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도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통신 장비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탄소 배출 감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박규진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퓨처모바일연구팀장은 “6G 통신의 지향점 중 하나가 네트워크의 클라우드화이고,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진화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오픈랜으로 볼 수 있다”면서 “AI 서비스를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측면에서도 오픈랜 기반 진화는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오픈랜이 장비 업체의 힘을 빼고 소프트웨어·클라우드 사업자 중심으로 이동통신 산업 생태계의 무게중심을 옮겨가게 한다는 점입니다. 애초 미·중 갈등 국면에서 미국이 자국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픈랜 Open-RAN 네트워크 통신 미국 중국 기술 경쟁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반도체 산업의 집합체휴대전화는 반도체 산업의 집합체이자 최신 기술 경쟁의 장이자, 반도체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산업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 차 유리가 스크린으로 변신”…길 찾기는 기본, 졸음운전 땐 경고까지미래 디스플레이·車 전장 기술 쏟아진 CES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배터리 보조금 장담 말라”...美 상무부 장관 후보자 재검토 주장중국 AI 딥시크 “미 기술 훔쳐” 직격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디스플레이 혁신 기술 경쟁미래 자동차의 핵심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혁신 기술이 CES 2025에서 대거 공개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 현대모비스, 동우화인켐 등 모빌리티 기업들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의 최전선을 선보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트럼프 '일괄 관세' 검토 중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검토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대응을 담은 기사입니다. 미·중 경제 양립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日· 필리핀 정상, 경제·해양·기술 협력 강화 합의미국, 일본, 필리핀 3국 정상은 내주 퇴임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 이시바 총리, 마르코스 대통령이 13일 전화 회의를 갖고 경제·해양·기술 관련 협력을 강화·심화하기로 합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