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때 '물가상승 고통' 썼던 언론들, 지금은 왜 다릅니까 윤석열정부 물가안정 하성태 기자
"제가 여기로 이사 온 이유가, 자주 일을 구둣발 바닥이 닳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거든요. 비서관들이나 행정관들도, 또 우리 수석비서관들이 이 방 저 방 다니면서 다른 분야의 업무하는 사람들과 끊임없이 , 그야말로 정말 구두 밑창이 닳아야 합니다."
그로부터 넉달이 흘렀다. 초코파이 가격도, 라면 가격도 올랐다. 물가 상승률이 IMF 이후 최고라는 보도가 연일 포털을 뒤덮는 중이다. 배추 1포기 값이 2만원을 찍었다는 뉴스도 이제는 새삼스러울 것이 없다. 달러 환율도 IMF 시절에 육박하면서 여기저기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그런 와중 윤 대통령이 또 물가를 들고 나왔다. 이러한 언론들의 보도 행태가 의아함을 던져주는 두 가지를 꼽아보자면, 논조와 전 정부와의 비교다. 문재인 정부 당시 '물가 안정'을 촉구하던 언론의 논조와 비교하면 윤석열 정부에 대한 논조는 놀랍도록 차분해 보인다. 지난 정부에서 '물가 상승'과 관련해 정부가 국민들 고통을 헤아리라고 강조하던 논조와 비교하면, 그때와 지금이 같은 언론들인가 싶을 정도다."문재인 정부 5년 동안 물가 상승과 실업에 따른 국민들의 고통이 직전 박근혜정부 때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고령화 등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평균 경제성장률이 낮아진 상황에서 코로나 팬데믹이 터지면서 실업률과 물가가 크게 오른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문재인정부에서 소득불평등은 이전 정부에 비해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기 중반이던 2019년 5월,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 물가가 세계 1위로 올라섰다'라는 인터넷 커뮤니티발 내용, 사실확인도 거치지 않은 내용을 그대로 기사화했던 언론도 여럿이었다. 지난해 11월 는 '무섭게 뛰는 물가·금리에도 손 놓은 정부'라는 사설을 통해 연말연시를 앞두고 물가가 상승하는 데 따른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을 대놓고 질타한 바 있다.지난 대선 직후이던 4월 당시 문 전 대통령은 10년 만에 4% 인상폭을 보인 물가를 두고"상한 각오로 안정 전력"이란 메시지를 내놨다.
"윤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50조 원 규모의 자영업자 지원을 약속했을 때 그 돈은 추경이 아니라 세출 조정을 통해 조달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결국 추경을 통해 조달함으로써 돈을 흡수해야 할 시점에 돈을 푸는 역주행을 했다." - 지난 6월 15일 , '[송평인 칼럼] 말로만 물가 안정인 윤석열 정부' 중에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실, '김건희 파일'에 '문 정부 때 수사, 결과 지켜보겠다'대통령실은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2차 작전' 시기에 관여한 정황이 나왔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지금 재판이 진행 중이고 진술 하나하나에 저희가 일일이 답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입장을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촛불 때 기무사 계엄문건…문 청와대서 문제없다고 밝혔다'국힘이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 등에 대해 대검찰청에 접수한 고발장에 이같은 내용이 포함됐습니다.촛불집회 기무사 계엄령 문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문 정부 태양광에 뭉텅뭉텅…나무 265만그루 잘려나갔다탄소 중립 정책을 추진하면서 탄소 흡수원인 산림을 훼손한 셈입니다.\r문정부 태양광 나무 산림훼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마에 2만원 '묻지마 원단', 제발 말리고 싶습니다30마에 2만원 '묻지마 원단', 제발 말리고 싶습니다 바느질 연습용원단 구매금지 부캐 최혜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이는 상관없다'는 말에 속았다, 순진하게도[나이 오십 넘은 여성의 취업 분투기] "나이가 왜 이렇게 많냐"는 무례한 면접관도 만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