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광연 앵커■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앵커> 중동발 악재, 이렇게 표현을 하는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 원유 생산국은 아니거든요. 그런데 국제유가에 미칠 영향을 따져보는 이유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미칠 영향 때문일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이인철> 맞습니다. 산유국도 아닌데 사실은 지금 얘기하고 있는 러시아하고 우크라이나는 산유국이면서 곡물 곡창지대거든요. 전쟁이 났기 때문에 당장 영향을 주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여기 지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모두 말씀하셨던 것처럼 원유 생산국이 아닌데 이게 확전 가능성에 대해서 굉장히 시장은 우려하고 있어요. 확전 가능성 한다면 누가 확전할 거냐? 지금 하마스의 배후에는 이란이 있을 가능성, 여기에다가 사우디 참전 가능성,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이거든요. 미국이 지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수행하면서 다시 이 전쟁에 굉장히 연루될 것이냐에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데 이 세 나라가 모두 산유국입니다.◆이인철> 맞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특히 이란은 하루에 300만 배럴가량 원유를 생산하는 세계 4대 생산국이거든요.
이러다 보니까 지금 만에 하나 이란이 정말 악의적인 감정으로 전 세계 물동량, 석유 물동량의 20%가 지나가는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거나 이럴 경우에는 아마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가 아마 가만히 있지 않을 거예요. 사우디는 지금 제2의 미래 도시를 짓기 위해서 굉장히 많은 자금이 필요하고 또 그걸 위해서 100만 배럴가량 하루에 감산하고 있거든요. 러시아는 30만 배럴. 이런 상황에서 만에 하나 이게 더 장기화되고 또 호르무즈 해협을 차단하거나 수출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면 아마 추가적인, 유가가 어디까지 오를지는 아마 누구도 감을 잡지 못할 겁니다.국제 기사목록 전체보기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묶이면 전세계 경제 '초토화'...중동 최악의 시나리오 [Y녹취록]■ 진행 : 이광연 앵커■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우크라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우리 경제 불안요인 커져'[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합니다.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력 충돌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대외경제의 위험 요소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중동 사태에 경제 불안 커질 수 있어…긴밀 대응을”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 겹치면서 대외경제 불안 요인이 커질 수 있다”며 “관계 부처는 국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우크라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우리 경제 불안요인 커져'[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합니다.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력 충돌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대외경제의 위험 요소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중동 사태에 경제 불안 커질 수도…긴밀 대응을”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동 사태까지 겹치면서 대외경제 불안 요인이 커질 수 있다”며 “관계 부처는 국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