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도 다시 솔개를 볼 수 있길 바라며
'우리는 말 안 하고 살 수가 없나 나르는 솔개처럼' 노래로 유명해진 솔개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거의 볼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1969년까지만 해도 서울 종각과 창덕궁 나무 위에 260∼270마리씩 모여 잠을 잤다는 기록이 있다.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국내에서는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등재되어 보호하는 종이다. 솔개미, 소리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1960~70년대 쥐약 살포와 서식지 훼손이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로 추정된다. 창덕궁에서도 흔히 볼 수 있던 솔개는 특정 지역 이외에서 확인하기는 불가능한 종이 된 것이다. 필자도 1996년 낙동강에서 본 이후 한 번도 확인하지 못했다. 마을 주변을 선회하면서 병아리를 채가는 일이 많아 주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던 종이기도 했다. 때문에 '솔개미 떴다. 병아리 감춰라'는 노래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렇게 가까웠던 솔개를 필자는 일본에 가서야 카메라에 모습을 담을 수 있었다. 낙동강 하구에 드물게 찾아갔지만 솔개를 만날 기회가 없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야 원내사령탑 첫 회동...'특검 협조' vs '훅 들어와'[앵커]22대 국회 첫 1년, 여야 협상의 열쇠를 쥔 국민의힘 추경호·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처음으로 만났습니다.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치 의지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야 원내사령탑 첫 회동...'특검 협조' vs '훅 들어와'[앵커]22대 국회 첫 1년, 여야 협상의 열쇠를 쥔 국민의힘 추경호·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처음으로 만났습니다.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치 의지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야 원내대표 상견례...추경·특검법 '기 싸움' 예고[앵커]22대 국회 첫 1년, 여야 협상의 열쇠를 쥔 국민의힘 추경호·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처음으로 만났습니다.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치 의지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주, 갤럭시... 과학이 가장 중요, 기술의 원천'[호주 기초과학 파워①-하] '상업화'를 위한 도전과 과제...빅토리아-서호주 사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양성 기업에 인재가 몰린다[책이 나왔습니다] 기업과 개인을 위한 안내서 를 펴내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의 붕괴론, 흘려들을 수가 없다[신간] 미국인 군사 전문가의 를 읽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